핵심 3줄 정리
• 6월 말 텐센트 ‘TME 버블’ 론칭 확정 → 중국 수익 잠재치 연 600억 원
• NDR 이후 목표주가 6.7 만 원 상향, 기관 순매수로 52주 신고가 근접
• 1Q 구독자 188만 명 바닥 확인… 엑소 카이·RIIZE 효과로 2Q 급반등 전망
주간 키워드 분석
① 텐센트 런칭 임박 (9회, 24 %) :
6월 마지막 주 QQ뮤직·웨이보에 ‘TME 버블’이 뜹니다. 초기 15개 중국 IP를 시작으로 SM·JYP 아티스트가 순차 입점 예정. 증권가는 “연 구독수익 최소 +600억 원”을 제시하며 중국이 구독 성장의 2차 S-Curve가 될 것이라 해석합니다.
② 구독자 반등 기대 (8회, 21 %) :
1Q 블랙핑크 지수 이탈로 구독자가 188만 명까지 빠졌으나, 5월 말 엑소 카이 재입점·RIIZE·NCT WISH 신규 입점으로 주간 WAU가 20 %↑. 평균 구독수 1.6배를 적용하면 2Q 구독자 +34 % 반등이 가능하다는 계산입니다.
③ NDR 목표가 상향 (7회, 18 %) :
미래에셋 NDR(Non-Deal Roadshow)에서 “지금이 제일 싸다”라는 코멘트와 함께 목표주가를 67,000 원으로 올렸습니다. 텐센트 론칭·PG결제 도입·팬커머스 확장 등 하반기 촉발 이벤트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④ 52주 신고가 근접 (5회, 13 %) :
19–23일 주가가 8 % 상승해 5만 3,000원 선을 돌파, 52주 신고가(5만 4,200원)에 1,000원 차로 접근했습니다. 외국인은 소폭 매도했으나 기관이 120억 원 순매수해 수급 구도를 주도했습니다.
⑤ 신규 아티스트 러시 (5회, 13 %) :
SM 신인 boy group RIIZE, NCT WISH, 플레이브(플레디스 × 하이브 JP) 등이 2Q 안에 줄입점 예정입니다. 신규 IP는 구독자보다 ‘구독당 결제수’가 높아 버블 ARPU 상승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⑥ PG결제·커머스 확대 (4회, 11 %) :
3Q부터 버블 내 PG(신용카드·간편결제) 기능이 열리며 글로벌 결제 편의성이 높아집니다. 동시에 ‘DearU Market’ 연동으로 디지털 포토·응원봉 굿즈 판매가 예정돼, 커머스 매출 비중이 2024년 2 % → 2025년 8 %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됩니다.
투자 인사이트
① 긍정 요인
중국 텐센트 서비스 → 연 구독 매출 +600억 원, 총구독자 280만 명 레벨업
신규 IP 러시·PG결제 도입으로 ARPU +12 %p 개선 기대
기관 순매수 전환·목표가 상향으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여지
② 부정 요인
1Q 실적 부진 여파(영업이익 –13 % YoY) → 턴어라운드 지연 시 실망 매물 위험
텐센트 심의 지연·중국 규제 변수 상존
블랙핑크·JYP 톱 IP 의존도 높아 구독 변동성 지속
③ 모니터링 포인트
텐센트 ‘TME 버블’ 실제 론칭 D-Day·초기 유료 전환율
2Q 구독자 증가폭·ARPU 추이
PG결제 적용 후 커머스 매출 비중 변화
텐센트 론칭과 신규 IP 입점이 “구독 2차 랠리”를 예고하지만, 중국 규제·톱 IP 공백은 여전히 리스크입니다. 투자자는 6–7월 구독 지표와 중국 매출 인식 속도를 확인하며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주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이노베이션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비상경영·유동성 시험대! (0) | 2025.05.25 |
---|---|
서진시스템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vRAN·AI 수주 폭발! (0) | 2025.05.25 |
테크윙 주간 키워드 분석 (05-17 ~ 05-23) : HBM·AI 핸들러 질주! (0) | 2025.05.25 |
솔브레인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EUV·中수주 ‘두 날개’! (0) | 2025.05.25 |
피코그램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PFAS·친환경 필터! (0)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