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HBM4·엔비디아 원팀
·
주간 이슈
지난 7일 동안 SK하이닉스는 ‘HBM4 승부수’로 반도체 왕좌 굳히기에 나섰습니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대만 컴퓨텍스 부스를 찾아 “HBM4를 잘 지원해 달라”는 메시지를 던지며 협력 구도가 재확인됐고, 외국인 자금은 1조 4 천억 원 넘게 몰려 주가가 12 % 가까이 뛰었습니다. 그러나 미·중 관세 휴전 시한 연장 여부와 2분기 실적 기대치 상향 조정 속 목표주가 불확실성은 여전히 숙제로 남았습니다.주간 키워드 분석① HBM4 (14회, 25 %) :트렌드포스는 HBM4가 내년 하반기 AI 서버 메모리 표준이 될 것이라며 SK하이닉스가 시장 점유율 1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회사는 12단 제품을 올해 3분기 조기 양산, 16단은 2026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라인 조정에 돌..
HD현대일렉트릭 주간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러시아 데이터센터 러브콜·사상 최대 1 분기 실적 후폭풍·관세 완화
·
주간 이슈
초고압 변압기 · 배전기기 글로벌 톱티어 HD현대일렉트릭(267260)이 이번 주에도 굵직한 헤드라인을 쏟아냈습니다.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가 방한해 공장 투어를 진행하며 동유럽 재진출 교두보를 놓았고, 1 분기 ‘매출 1 조·영업이익 2,182 억 원’ 역대 최고 실적 여진이 계속됐습니다. 여기에 미국 반덤핑 최종 결과에서 관세를 피하며 대북미 수주 모멘텀도 유지돼, 경영·재무·산업·규제 전 부문에서 기대와 과제가 교차한 한 주였습니다.1. 경영러시아 데이터센터 대표단 초청 — 5 월 16 일 더구루 단독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 임원진과 주요 업체 관계자 20여 명이 울산·안성·성남 생산라인과 청주 스마트팩토리를 둘러보고 협력 확대를 논의했습니다. 종전(終戰) 후 시장 재개를 선제적으로..
현대차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사우디 첫 공장 착공·인도 26종 신차 계획·美 EV 세액공제 변수
·
주간 이슈
현대자동차(005380)는 이번 주 사우디아라비아에 첫 번째 완성차 공장을 착공하며 중동 생산 거점을 확보했고, 인도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26개 신차를 순차 출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동시에 미국 하원의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법안과 북미 관세 여파, 팔리세이드 화재 위험 리콜까지 겹치며 기회와 리스크가 교차한 한 주였습니다. 1. 경영현대차는 5월 14일 사우디 KAEC ‘킹 살만 오토모티브 클러스터’에서 연 5만 대 규모의 현대차 중동공장(HMMME) 착공식을 진행했습니다. 2026년 말 양산을 목표로 두며, CEO 장재훈 사장은 “중동 맞춤 차종을 현지 생산해 시장 1위 도전에 나선다”라고 밝혔습니다. 인도법인은 향후 5년간 26개 신차·변형 모델을 출시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SUV·전기차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