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일주일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은 AI 제조혁신(AX) 세미나로 기술 리더십을 과시하는 한편, 2,5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하며 주주환원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6 % 뛰어 ‘밸류업’ 로드맵이 순항 중임을 보여줬지만, 대규모 선투자와 외국인 수급 약세가 주가 상단을 눌렀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
① AI 제조혁신 세미나 (9회, 20 %) :
22일 개최된 MS-KT 공동 세미나에서 한국어 특화 LLM·보안 클라우드 기반 AX 솔루션을 발표, 올해 제조·물류 50곳에 시범 적용을 목표로 했습니다.
② 자사주 매입·소각 (8회, 18 %) :
2~8월 신탁계약으로 2,500억 원 규모 자사주를 취득 후 전량 소각하기로 확정, 2028년까지 누적 1 조 원 환원 계획의 첫 단계가 본격화됐습니다.
③ 1분기 호실적 (7회, 16 %) :
매출 6조 8,451억 원(+4 % YoY), 영업이익 6,888억 원(+36 %)으로 시장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통신본업 NIM 개선과 AI·클라우드 매출이 동반 성장했습니다.
④ 배당 20 % 인상 (6회, 14 %) :
분기배당을 주당 600원으로 상향하고 결산배당 선지급 방식을 도입해 연간 배당수익률이 4 %대 중반으로 높아질 전망입니다.
⑤ AI 체험존 홍대 오픈 (5회, 12 %) :
1일 문을 연 ‘KT AI 체험존’에서 젊은 층이 프로필 사진 생성·AI 뮤직을 체험, 하루 1,000명 이상 방문하며 브랜드 친밀도를 끌어올렸습니다.
⑥ 스마트팩토리 연합 (4회, 10 %) :
제조혁신협회·중소벤처부와 산학 공동 R&D 펀드를 조성, 연내 300억 원 규모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해 B2B 매출 다각화를 노립니다.
투자 인사이트
① 긍정 요인
AI AX 솔루션 상용화 시 B2B 매출 연 +1,000억 원 레버리지 기대
자사주 소각·배당 확대로 주주환원율 40 %대 유지 가능
1분기 호실적로 2025 E PER 8배 수준 밸류에이션 매력 부각
② 부정 요인
AI·클라우드 선투자 CAPEX ▲1,200억 원 증가 예상 → 단기 현금흐름 부담
외국인 순매도 지속 시 주가 할인율 장기화 우려
B2C 통신 경쟁 심화로 무선 ARPU 개선 속도 둔화 가능성
③ 모니터링 포인트
AX 파일럿 50곳 도입 후 레퍼런스 계약 전환율
자사주 매입 진행률과 소각 시점
7월 발표 예정 2Q 실적에서 AI·클라우드 매출 성장률과 NIM 추이
주가가 박스권에 머물러 있지만, AI 전환 파이프라인과 대규모 주주환원 프로그램이 뚜렷한 모멘텀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AX 사업화 속도와 자사주 소각 이행 여부를 주시하며 분할 매수 전략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주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진쎄미켐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HBM·EUV 재도약! (0) | 2025.05.24 |
---|---|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월드투어 열기폭발! (0) | 2025.05.24 |
KT&G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스타트업·소송 격돌! (0) | 2025.05.24 |
신한지주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CBDC·자사주 질주! (0) | 2025.05.24 |
네이버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AI·뉴스, 쌍끌이! (0)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