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을 비롯해 광고·커머스·콘텐츠·핀테크까지
생활 곳곳을 파고든 카카오의 차트가 바닥권에서 기지개를 켜는 모습입니다.
장기간 하락에 지친 투자자들이 다시금 호기심을 보이기 시작했는데요.
멀티 타임프레임(월·주·일봉)과 핵심 지표를 통해
“지금이 반전의 서막인지, 숨 고르기인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기업 개요 및 최근 이슈
- 생활 플랫폼 1위 : 2024년 기준 카카오톡 월간 체류시간 점유율 97%로 압도적 1위 유지.
- 실적 흐름 : 2024년 연결 매출 7조 8,717억 원, 전년 대비 +4.2% 성장. 내수 부진 속에서도 톡비즈·커머스가 버팀목 역할. 그러나 모빌리티·페이 등 계열 확장 비용으로 순이익은 381억 원 수준(별도)
- AI·지주역할 강화 : 2024년 카카오브레인 일부 사업부문 영업양수, 100% 자회사인 다음글로벌홀딩스 합병 완료 – AI 모델 고도화와 지배구조 효율화 노린 결정
- 리스크 : 플랫폼 규제, 광고 경기 둔화, 세무조사·징수 이슈 지속
2. 월봉 및 주봉 – 장기 추세
- 월봉 : 2021년 17만 3,000원 고점 이후 -78% 급락, 현재 3만 7,000원 선에서 수렴.
- 120개월선(장기)과 20개월선이 겹치는 구간에서 지지·저항 공방.
- MACD는 여전히 0선 아래지만 하락 기울기 완화, RSI 39 부근 ‘침체‧과매도→중립’ 회복 시도.
- 주봉 : 2023년 3만 2,550원 저점 이후 완만한 상승 저점 높이기.
- 20·60주선이 3만 8,000원 내외에서 뭉쳐 있어 “데드크로스→골든크로스” 변곡 직전.
- 주봉 볼린저밴드 폭이 줄었다가 최근 살짝 벌어지며 변동성 재점화 조짐.
- MACD 히스토그램도 음→양전환 임박.
3. 일봉 – 단기 흐름
- 5월 초 3만 2,550원 저점 이후 가파른 반등으로 5·20·60일선을 모두 상향 돌파.
- 120일선(4만 1,000원) 부근에서 부딪힌 뒤 조정, 현재 3만 7,000원 안착 시도.
- 단기 캔들은 짧은 몸통·아래꼬리가 길어 매물 감소·저점 매수 유입을 시사.
4. 기술적 지표 심층 해석
이동평균선
- 월·주·일봉 모두에서 ‘가장 빠른선→가장 느린선’ 간격이 좁혀지는 수렴 국면이다.
- 일봉 5일선이 20·60일선을 골든크로스하며 단기 추세를 끌어올렸고,
- 60일선이 120일선을 향해 고개를 들고 있다.
- 주봉에서도 5·20주선이 오랜만에 정배열을 모색한다.
- 장기 하락 채널을 결집시킨 에너지가 ‘시스템 리셋’ 단계로 해석된다.
MACD
- 일봉 MACD는 0선 아래에서 골든크로스 후 양(+) 영역으로 진입,
- 시그널선과의 간격이 벌어지며 상승 탄력이 유지되고 있다.
- 주봉 MACD 역시 바닥에서 튀어 오르며 히스토그램이 절대값을 크게 줄였다.
- 중·장기 매도세가 급감을 의미, “큰손” 매도 압력이 진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볼린저밴드
- 월봉 : 폭이 대폭 축소돼 ‘에너지 응축’ 상태. 중심선(20개월선) 아래지만 상단 돌파 시 장대 양봉 가능.
- 일봉 : 급반등으로 상단을 과하게 이탈 후 밴드 상단이 위로 열린 상태. 정상화 과정에서 밴드 상단을 타고 미끄러질지, 중심선(20일선)까지 눌림 줄지가 관전 포인트.
RSI
- 월봉 RSI 39 → 과매도 탈출 초입. 주봉 41, 일봉 52로 중립권.
- 단기 과열은 아니지만, 60 이상 진입 시 모멘텀 가속 기대.
거래량 & OBV
- 저점대비 거래량이 완만히 증가하고 있다.
- 일봉 기준 OBV는 박스 상단을 돌파, 매집이 이뤄지고 있음을 암시.
- 다만 장기 OBV는 아직 추세 반전 확정 전이기에 주가·거래량 동시 확대가 필수.
5. 단기 시나리오 및 체크포인트
- 상승 연장 : 3만 7,000원 지지 성공 → 4만 1,000원(120일선) 재돌파 시 4만 5,000원대 갭 저항 테스트.
- 조정/횡보 : 3만 6,000원(20일선) 이탈 시 3만 4,000원대 이전 저점·볼린저 중심선까지 눌림 가능.
- 핵심 체크 :
- 3만 7,000원 지지력과 거래량 유지 여부
- 주봉 MACD 양전환 시점
- 플랫폼 규제·AI 투자 관련 정부/정책 뉴스 플로우
6. 리스크 및 모멘텀 체크
- 리스크 :
광고 경기 둔화, 플랫폼 규제 강화,
지주사 전환·합병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회계 불확실성,
AI 투자비 증가. - 모멘텀 :
AI·클라우드 신사업 모멘텀,
카카오페이증권·카카오모빌리티 성장,
카카오톡 광고 슬롯 확대,
M&A 시너지 가시화.
카카오는 ‘거품 붕괴’라는 혹독한 숙취를 겪었지만,
이제는 체질 개선을 마치고 “실적 안정 + 신사업 성장” 스토리를
다시 써 내려갈 시점에 서 있습니다.
차트 역시 장기 하락의 끝자락에서 수렴 패턴을 보이며
‘조용한 반전’을 준비 중입니다.
아직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터지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3만 7,000원 지지와 주봉 MACD 양전환을 최우선 확인하며
유연하게 대응하시길 바랍니다. 성공적인 투자 되세요!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홀딩스 주가 전망 : 김문수·수소차 테마 불꽃… 9,500원 돌파 시 2차 스파이크? (0) | 2025.05.11 |
---|---|
이수페타시스 주가 전망 : 4만 원 벽 넘으면 2차 AI PCB 랠리 재점화? (0) | 2025.05.09 |
GS글로벌 차트분석: 120일선 돌파 임박, EV·리사이클링 모멘텀으로 3,400원 재도전? (0) | 2025.05.09 |
애경케미칼 차트 분석 : 그런데 친환경 가소제·하드카본 모멘텀을 곁들인 (0) | 2025.05.08 |
성신양회 차트분석 : ‘선거 테마 + 시멘트 가격 인상’ 겹호재로 3일 100 % 급등! – 멀티타임프레임 차트로 읽는 추세 전환 시그널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