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
국내 대표 석유-화학 기업이자 친환경 소재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는 애경케미칼이
최근 강한 거래량과 함께 장기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폐 플라스틱 기반 친환경 가소제, ESS용 하드카본 음극재, 바이오디젤 등
신사업 이슈가 주가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월·주·일봉을 겹쳐 놓고 들여다보겠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월봉·주봉로 본 장기 구조 (터널 끝이 보이나?)
- 월봉: 2022년 고점 2만 7,800원 이후 60% 이상 조정. 60·120개월선 아래에서 꾸준히 눌리던 주가가 올 3월부터 양봉 두 개로 장기 하락채널 상단에 재진입. 월 MACD는 여전히 0선 아래이지만 히스토그램 축소가 뚜렷해 장기 다이버전스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 주봉: 5,960원 저점(’25 3월) 대비 최대 100% 가까운 기술적 반등. 20·60주선이 아직 역배열이지만, 가격이 두 선을 동시에 넘으면서 주봉 골든크로스 예고 구간 진입. 주봉 RSI 67선으로 중장기 매수세 유입이 확인됩니다.
- 3년 넘게 이어진 장기 하락 추세가 완만해지며 ‘바닥 다지기 → 추세 전환’ 초입에 들어섰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2. 일봉: 단기 급등 이후 숨 고르기 패턴
- 4월 말 단숨에 +80% 가까운 스파이크가 나오며 1만 1,990원을 터치한 뒤, 이틀 조정에도 5·20일선을 지키며 상승 에너지 보존. 갭이 발생한 9,500원대 초반~1만 원 초반이 매수세의 방어 지대로 작용 중입니다.
3. 기술적 지표 심층 해석
① 이동평균선
- 단기 5·20일선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60·120일선을 역전했습니다.
- 가격은 네 개의 이평선을 모두 위에서 감싸고 있어 정배열 초입 특유의 탄성을 시사합니다.
- 주봉에서도 5·20주선이 60주선을 향해 수렴 중이라,
- 이번 주 추가 양봉이 나온다면 주·일봉 동시 정배열이 완성됩니다.
② MACD
- 일봉 MACD는 0선 위에서 파란 MACD선과 오렌지 시그널선 간 이격이 넓어지며
추세 모멘텀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 주봉 MACD 역시 100선 부근까지 반등, 히스토그램이 두 번째 양봉을 그리고 있어
중단기 모멘텀 상승 일치가 돋보입니다.
③ 볼린저 밴드
- 급등 직후 상단을 강하게 돌파하며 밴드 폭이 급격히 벌어졌고,
현재는 상단 라인을 따라 이동 중입니다. - 밴드 중심선(20일선)이 8,400원대로 빠르게 올라오고 있어
밴드 안쪽 눌림 시 매수 유효한 구간입니다.
④ RSI
- 일봉 RSI가 77선까지 과매수권에 진입했지만,
과열이 그대로 유지되는 강세 추세형 과매수 패턴입니다. - 주봉 RSI도 67로 70선 돌파를 노리며 장기 매수세가 살아 있음을 보여 줍니다.
⑤ 거래량 & OBV
- 4월 폭발적 거래(평소 대비 10배 이상)가 들어온 뒤에도 거래 축소 폭이 완만합니다.
- OBV(가상)는 고점을 회복한 채 횡보해 “물량 잠김 + 매물 소화”를 나타냅니다.
- 대량거래 이후 거래량이 재차 실리는 시점이 2차 상승 시그널이 될 것입니다.
4. 모멘텀 & 리스크 체크
- 모멘텀 : 폐PET 재활용 친환경 가소제 양산 체계 구축 Nate News ⦁ 2차전지용 하드카본 소재로 ESS 시장 공략
- 리스크 : 바이오디젤 입찰 담합 의혹으로 공정위 조사 확대 ⦁ 유가 변동에 따른 원재료 가격 리스크
5. 단기·중기 시나리오
- 상승 연장: 11,990원 고점을 돌파하면 주봉 120주선(12,500원 부근)
→ 월봉 전환선 14,000원대를 순차적으로 테스트. - 건강한 조정: 20일선이 위치한 9,000원 후반까지 눌림 후 깃발(Flag) 패턴 형성
⇒ 재돌파 시 N자 상승 목표치 14,000원. - 추세 훼손: 갭 하단 9,000원 이탈 시 8,000원 초(60·120일선 재테스트)까지 열려 있으나,
거래가 급감하지 않는 한 장기 추세 전환 시나리오는 살아 있습니다.
6. 관찰포인트
- 20일선 지지 → 재상승 여부
- 거래량 재점화 시점
- 모멘텀 뉴스(친환경 가소제·하드카본 계약/실적) 흐름
장기간 눌려 있던 애경케미칼이 ‘친환경 + 2차전지’라는 확실한 스토리를 등에 업고
기술적 반전의 초입에 서 있는 모습입니다.
아직 과열 해소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정배열 전환과 모멘텀 뉴스의 재확인이 동반된다면
중장기 추세 전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차트분석: 3만7천 원 지지선 사수… AI·톡비즈로 장기 하락 끝낼까? (0) | 2025.05.09 |
---|---|
GS글로벌 차트분석: 120일선 돌파 임박, EV·리사이클링 모멘텀으로 3,400원 재도전? (0) | 2025.05.09 |
성신양회 차트분석 : ‘선거 테마 + 시멘트 가격 인상’ 겹호재로 3일 100 % 급등! – 멀티타임프레임 차트로 읽는 추세 전환 시그널 (0) | 2025.05.08 |
한전 차트분석: 4년 만의 흑자 전환, 전기요금 인상 재점화? 월봉 돌파가 던지는 시그널 (0) | 2025.05.08 |
솔트웨어(321820) 차트·주가 분석 | 클라우드 MSP·스마트팜 성장성, 지지·저항·MACD·볼린저밴드로 본 상승·조정 시나리오 (by 김찰트)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