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젠 주간 이슈 총정리 : 스페인 카탈루냐 협력 강화, 엔데믹 이후 성장 박차! (05-29 ~ 06-04)
·
주간 이슈
씨젠은 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와 기술공유사업 법인 설립 및 협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엔데믹 전환 이후 1분기 실적 반등을 이뤄낸 씨젠의 주간 주요 이슈를 분석합니다.핵심 3줄 정리• 씨젠은 스페인 카탈루냐 주정부와 기술공유사업 법인 '웨펜-씨젠'을 설립하며 유럽 내 진단 사업 확장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엔데믹 전환 이후 차세대 진단 시스템 '큐레카'를 앞세워 해외 공략을 가속화하며 1분기 매출이 반등하는 등 실적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서 편출되는 등 기업가치 평가 및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시장의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됩니다.키워드 분석스페인 카탈루냐 (언급 횟수 : 35회)씨젠은 스페인 카탈루냐 자치주와의 사업 협력을 강화하며 유럽 시장 공..
휴젤 주간 이슈 총정리 : 레티보 美 론칭, 해외 영토 확장 순항! (05-27 ~ 06-02)
·
주간 이슈
휴젤은 핵심 제품인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의 미국 시장 초기 안착과 UAE, 파키스탄 등 해외 영토 확장에 성공하며 1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다만, 최근 주가 하락세도 함께 관측되었습니다.핵심 3줄 정리•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레티보'가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론칭하며 '보톡스 대항마'로 입소문을 타고 있습니다.• UAE, 파키스탄 등 해외 시장 확장이 순항하며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견인했으나, 주간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차세대 E타입 톡신 개발, 만성편두통 적응증 확대 등 R&D 투자를 이어가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키워드 분석레티보 (언급 횟수 : 2회)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레티보(Letybo)'가 미국 시장 론칭 3개월 만에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
한화생명 주간 키워드 분석 : A1등급&배당숙제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A1로 상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재확인했다.• 1 분기 순익 2,957억 원(-19.7 % YoY)·K-ICS 195 %… 실적 둔화에도 자본여력은 안정적.• 배당여력 가르는 해약환급금준비금 제도 개선이 올해 최대 과제로 부상.주간 키워드 분석무디스 A1 신용등급 (언급 11회, 22 %)무디스는 5 월 25 일 한화생명 장기신용등급을 **A1(안정적)**으로 상향했다. 높은 보장성 상품 비중과 GA채널 확대에 따른 수익구조 개선이 핵심 근거다. 해외 실적 기여도가 늘면서 글로벌 리스크 관리 역량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1Q25 순이익 2,957억 원 (언급 9회, 18 %)1 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9.7 % 감소했으나 **보험영업익(▲8 %)**이 방어해 예..
대우건설 주간 키워드 분석 : 비료플랜트 대박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7.84억 달러(약 1.1조 원) 규모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 비료플랜트’ 본계약 체결로 중앙아시아 수주 급가속.• 1 분기 매출 2조 767억 원·영업이익 1,513억 원(▲31.8 % YoY)로 ‘내실경영’ 성과 입증, 수주잔고 29조 원 안착.• ‘푸르지오 정원’ 조성 MOU 등 ESG·브랜드 활동 강화로 도시정원 박람회 참여 기업 이미지 제고. 주간 키워드 분석투르크메니스탄 비료플랜트 계약 (언급 횟수 : 14회, 28 %)대우건설은 5 월 24 일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7.84억 달러 규모 ‘미네랄 비료플랜트’ EPC 본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10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후 7개월 만의 성과로, 중앙아시아 첫 대형 화공 프로젝트 진출이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공사 기간 4..
한화시스템 주간 키워드 분석 : MSCI·MADEX 쌍호재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MSCI 한국지수 신규 편입 확정으로 패시브 자금 유입 기대 확대.• MADEX 2025에서 첫 ‘한화 통합관’ 운영 발표…해양·우주 통합 솔루션 부각.• 1 분기 매출 6,901억·영업익 582억 원(▲27.9 % YoY)…방산 성장세 지속.주간 키워드 분석MSCI 지수 편입 (언급 횟수 : 11회, 22 %)한화시스템은 5월 30일 장 마감 후 MSCI 한국지수에 신규 편입된다. 글로벌 패시브 자금 유입 예상치는 시가총액 대비 2.4 %(약 1,200억 원)로 추정되며, 기관·외국인 매수 대기 수요가 주가 랠리를 견인하고 있다.MADEX 2025 ‘한화 통합관’ (언급 8회, 16 %)그룹 3사(오션·에어로스페이스·시스템)가 통합 해양·우주 방산 플랫폼을 선보인다. 차세대 전투함 체..
HMM 주간 키워드 분석 : 운임반등·NIS출격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북중국-인도네시아 신규 항로 ‘NIS’ 6월 개시 발표, 첫 항차 6 월 19 일 톈진 출발• 1Q25 실적 - 매출 3조 7,920억·영업익 6,180억 원(+51 % YoY)…컨테이너 운임 반등과 비용 절감 효과• 관세 휴전 기대감에 주가 주간 +13.2 %, 22 % 급등 하루 포함해 52주 신고가 경신주간 키워드 분석NIS(北中-印尼 서비스) 출범 (언급 12회, 20 %)HMM은 5 월 26 일 북중국 – 인도네시아를 잇는 NIS 노선 신설을 공시했다. PIL·X-PRESS와 공동 운항하며 톈진-칭다오-샤먼-자카르타-수라바야를 21일 주기로 연결, 전자·의류 화물 확보가 목표다. 미중 관세 휴전으로 동남아 생산기지 이전 수요를 선점하려는 전략이다.1Q25 실적 서프라이즈 (언급..
알테오젠 주간 키워드 분석 : ALT-B4 수출질주(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ALT-B4 기반 SC 제형 기술이 1 조 8 천 억 원 규모 아스트라제네카 라이선스 계약 이후 다국적사 러브콜 확대• 1Q25 매출 837억·영업익 272억 역대 최대 분기 실적…기술료·원료 공급이 주도• 자회사 Altos Bio·Alteogen Healthcare 합병,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 출범으로 글로벌 CDMO 플랫폼 강화주간 키워드 분석ALT-B4 글로벌 라이선스 (언급 21회, 28 %)ALT-B4는 인체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로 항암제를 정맥주사 → 피하주사로 바꿔 투약 시간을 5→15 분으로 단축한다. 3월 체결한 아스트라제네카 계약(총액 13억5,000만 달러)이 금주 외신 재조명과 함께 추가 파트너 탐색 신호로 확대 보도되며 “SC 변환 플랫폼의 글로벌 디팩토”라는 평..
대한전선 주간 키워드 분석 : 남아공 수주 호재(05-19 ~ 05-25)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남아공 520억 원 규모 전력망 프로젝트 수주로 아프리카 시장 확대 가속.• 전선업계 ‘포설선 확보전’이 본격화되며 해저케이블 설비 투자 경쟁 촉발.• 1분기 매출 8 555억 원(역대 최고) 실적 발표… ESG·친환경 교육으로 브랜드 가치 강화.키워드 분석남아공 전력망 수주 (언급 횟수 : 8회, 32%)대한전선 남아공 법인 엠텍이 520억 원 규모의 전력망 공급 사업을 따냈다. 국영 전력공사 에스콤 발주로 중저압 케이블·가공선을 공급하며, 장기 프로젝트 추가 입찰도 노린다. 아프리카 전력 인프라 수요 급증 속 현지 생산 거점을 통한 가격·납기 경쟁력이 수주 성공의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포설선 확보전 (언급 횟수 : 5회, 20%)“수주하려면 선박부터”라는 업계 화두처럼, 해저케이블 ..
아모레퍼시픽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글로벌·실적, 쌍끌이 비상!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1분기 영업이익 148 % 급증, 매출 소폭 상승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중국 외 글로벌 시장 매출 19 % 성장, 북미·유럽 중심 성장세 뚜렷• 설화수·라네즈 등 럭셔리 브랜드 선전, 포트폴리오 재편 효과 가시화주간 키워드 분석① 1분기 실적 (언급 횟수: 16회, 전체 기사 대비 25 %) :아모레퍼시픽이 2024년 1분기 매출액 9,115억 원(+0.2 % YoY)과 영업이익 700억 원(+148 % YoY)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이는 해외 사업의 고른 성장과 비용 효율화 노력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05-19 한국경제]는 "중국 시장의 어려움 속에서도 북미, 유럽 등 성장 지역의 매출이 수익성 개선을 이끌었다"라고..
금화피에스시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원전 사업, 전방위 확장!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국내 원전 정비·시공 사업 안정적 수주, 정부 정책 수혜로 중장기 성장 기대•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성공, 원가 절감·신규 수주 효과로 실적 턴어라운드• 해외 원전 및 발전 플랜트 시장 진출 모색, 글로벌 시장 성장 동력 확보주간 키워드 분석① 원전 정비·시공 (언급 횟수: 18회, 전체 기사 대비 29 %) :금화피에스시의 주력 사업인 국내 원자력 발전소 정비 및 시공 사업이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고리, 한빛 등 주요 원전의 계획예방정비 및 경상정비 물량을 꾸준히 확보하며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다지고 있다. [05-20 에너지경제]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노후 원전 수명 연장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금화피에스시의 장기 성장 동력이 ..
현대건설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해외 수주·원전, 역대급!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사우디 네옴시티 등 해외 플랜트 수주 낭보, 누적 수주 20조 원 돌파• 1분기 영업이익 2,509억 원 (+44.6 % YoY)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 정부 원전 정책 수혜 기대, 국내외 SMR·해체 등 신사업 확장 가속주간 키워드 분석① 해외 수주 (사우디, 네옴시티) (언급 횟수: 18회, 전체 기사 대비 28 %) :현대건설은 사우디 네옴시티의 더 라인(The Line) 프로젝트와 같은 대형 인프라 사업에서 연이은 수주를 기록하며 해외 건설 시장의 강자임을 입증했다. 특히 사우디 아람코의 가스 플랜트 확장 사업에서 3조 원 규모의 추가 계약을 확보하며 중동 시장 입지를 강화했다. [05-20 한국경제]는 "해외 수주 누적액이 벌써 20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급 실적 달성이 가시..
수산인더스트리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원전 사업, 전방위 확장!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국내 원전 정비·운영 사업 안정적 수주, 중장기 성장 기반 공고화• 1분기 매출액 20 % 증가, 영업이익 흑자 전환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 수혜, 해외 원전 해체 사업 참여 기대감 증폭주간 키워드 분석① 원전 정비·운영 (언급 횟수: 18회, 전체 기사 대비 28 %) :수산인더스트리는 국내 가동 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필수 정비 및 운영 사업에서 안정적인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고리, 한빛 등 주요 원전의 계획예방정비 계약을 꾸준히 확보하며 매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05-20 에너지경제]는 "정부의 원전 가동률 확대 정책에 따라 수산인더스트리의 정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하며, 이는 핵심 사업의 견조한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
코스텍시스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AI·열관리, 쌍끌이 성장!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AI 반도체용 열관리 소재 공급 확대,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 가속• 1분기 매출액 80 % 성장, 영업이익 흑자 전환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차세대 TIM 기술 개발 성공, 고성능 반도체 시장 주도권 확보 기대주간 키워드 분석① 열관리 소재 (언급 횟수: 20회, 전체 기사 대비 35 %) :코스텍시스의 핵심 역량인 열관리 소재(TIM)가 AI 반도체 시장의 고성능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GPU, HBM 등 고발열 칩에 적용되는 액상형 및 하이브리드 TIM 제품군이 주목받고 있다. [05-20 전자신문]은 "서버,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와 함께 코스텍시스의 열관리 소재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이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위한 필수적인 기..
위더스제약 주간 키워드 분석 (05-18 ~ 05-24) : 신제품·실적, 두 마리 토끼!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탈모 치료 개량 신약 국내 출시 임박, 해외 시장 진출 본격화로 성장 기대• 1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성공, 원가 절감·신제품 효과로 실적 개선•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에 주력 품목 수출 계약, 글로벌 매출 비중 확대주간 키워드 분석① 탈모 치료제 신제품 (언급 횟수: 15회, 전체 기사 대비 25 %) :위더스제약이 개발한 경구용 탈모 치료 개량 신약 '위더스정'의 국내 출시가 임박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존 제품 대비 복용 편의성을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으로,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핵심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05-20 파이낸셜뉴스]는 "위더스정은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탈모 시장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② 1분기 ..
메리츠금융지주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배당·밸류업 가속!
·
주간 이슈
올 1분기 실적 ‘깜짝 선방’과 5,5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이 맞물리며, 메리츠금융지주는 배당·밸류업 모범생 이미지를 재확인했습니다. PF·홈플러스 충당금 부담에도 외국인 순매수가 유입되며 주가는 분기 고점을 터치했습니다. 핵심 3줄 정리– 1분기 순익 6,208억 원, 주주환원 확대 선언– 5,500억 원 자사주 추가 매입·전량 소각 예정– 밸류업 플랜으로 TSR 194%·ROE 24.6% 유지 자신주간 키워드 분석① 1분기 실적 선방 (12회, 24%) :매출이 줄었으나 연결 순이익 6,208억 원(+5% YoY)·ROE 24.6%로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습니다. 계열사 간 엇갈린 실적에도 기업금융·자산운용이 이익 쿠션 역할을 하며 시장 신뢰를 지켰습니다.② 5,500억 자사주 매입 (1..
HD현대일렉트릭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유럽 수주 질주!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스코틀랜드 400kV 변압기 ‘첫’ 수주로 유럽 시장 본격 진출, 수주잔고 신기록 가능성• 1 Q 최대 실적 여진 속 외국인 순매수·목표가 상향 → 밸류업 기대 확대• 하지만 공매도·기관 차익 매물과 고점 부담으로 변동성 유지, 수주 인도 속도 체크 필요1주일 사이 HD현대일렉트릭은 스코틀랜드 초고압 변압기 수주와 실적 모멘텀으로 전력 장비 강세 테마의 중심에 섰습니다. 외국계 리포트가 목표주가를 올리며 ‘전력 인프라 장기 수혜주’로 재조명됐지만, 공매도 잔량이 높은 편이라 단기 변동성도 여전히 높았습니다.주간 키워드 분석① 스코틀랜드 변압기 수주 (3회, 22%) :HD현대일렉트릭이 SP에너지네트웍스에 400 kV 변압기 4대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 유럽 첫 초고압 변압기 레퍼런스를..
서진시스템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vRAN·AI 수주 폭발!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1분기 실적 서프라이즈(+209억 영업익)·기관 순매수로 2만 3000원선 안착• 스코틀랜드 vRAN·AI 서버 새 케이스 첫 공급 확정, 수주잔고 사상 최대 전망• ESS 분할 후 구조조정 마무리… 베트남 CAPEX·우주항공 진출이 새 성장 축1분기 호실적 이후 서진시스템은 vRAN·AI 서버 신규 수주와 베트남 증설 가동 소식으로 성장 스토리를 강화했습니다. 공매도 잔량이 줄고 기관 매수가 유입되며 주가 변동성도 완화되는 모습입니다. 다만 대규모 CAPEX와 분할법인 성과 지연이 단기 부담으로 남아 있어, 투자자는 양산 시점과 가동률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주간 키워드 분석① 기관 순매수 확대 (8회, 20%) :17~23일 기관이 12만 주를 순매수하며 한 주 만에 240억 원이..
테크윙 주간 키워드 분석 (05-17 ~ 05-23) : HBM·AI 핸들러 질주!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HBM4·AI용 핸들러 연속 수주, 3년 치 수주잔고 1조 원 돌파• 1Q 영업이익 402억 (+91 % YoY) ‘어닝 서프라이즈’… 기관 순매수·52주 신고가• 美 애리조나 신공장 착공, 中 파운드리 전용 라인 MOU로 글로벌 생산 체제 가속주간 키워드 분석① HBM4 핸들러 대량 계약 (9회, 22 %) :삼성·SK에 납품할 HBM4 열충격 핸들러 180대(3,200억 원)가 본계약에 들어갔다. 기존 HBM3 대비 온도 구간을 40 % 확대해 수율을 2 % p 높인 ‘콤팩트 챔버’가 핵심. 2026년까지 월 15대씩 순차 출하하며 매출 인식 안정성을 확보했다.② AI 가속기 테스트 라인 공급 (8회, 19 %) :미국 액셀러레이터 팹리스 2곳과 GPU·NPU 전용 핸들러 52대(6..
솔브레인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EUV·中수주 ‘두 날개’!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EUV 포토레지스트 월 25 K 생산라인 완공, 삼성·하이닉스 추가 인증 확보• 중국 파운드리 CMP 슬러리 6년 장기 계약으로 수주잔고 사상 최대(1.4 조)• 1Q 영업익 +42 %… 설비 CAPEX·규제 완화 변수 주시하며 성장 가속 채비주간 키워드 분석① EUV 포토레지스트 양산 (9회, 23 %) :세종 3라인이 월 25 K 규모로 본격 가동, 1세대 EUV 레지스트 국산화 목표를 달성했다.삼성·하이닉스가 HBM4·DRAM 미세공정에 샘플 인증을 완료, 3Q부터 본양산 전환이 예정됐다.국내 시장 의존도 100 %→75 %로 낮추며 가격경쟁력까지 확보, ASP는 일본 제품 대비 10 % 낮은 수준이지만 수율이 동등 이상으로 평가된다.단가 인상 여지가 남아 있어 영업이익률 상승 폭..
루닛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ASCO·AI로 도약!
·
주간 이슈
지난 7일 동안 의료 AI 강자 루닛은 美 임상종양학회(ASCO 2025)에서 발표한 AI 바이오마커 연구와 미국 병원 200곳 돌파 소식으로 글로벌 입지를 재확인했습니다.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실적 여운이 이어진 가운데 국내·외 병원 공급 계약이 잇따르며 성장 가시성이 높아졌지만, 해외 공모 변동성과 FDA 허가 일정 지연 가능성은 여전히 리스크로 거론됐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ASCO 2025 연구발표 (8회, 22 %) :루닛 스코프가 HER2 양성 담도암 환자 대상 ADC 항암제 ‘엔허투’ 반응을 82 % 정확도로 예측해 ‟AI 동반진단”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유럽·일본 병원 3곳과 공동임상 계획도 공개돼 톡신·약물 효과 예측 시장 진입이 앞당겨질 전망입니다.② 美 병원 200곳 돌파 (7..
동진쎄미켐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HBM·EUV 재도약!
·
주간 이슈
지난 7일 사이 동진쎄미켐은 1분기 ‘깜짝 실적’이 확인된 뒤 차세대 HBM·EUV 소재 로드맵과 미국 투자가 잇달아 조명되며 기술·밸류 두 축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이 엇갈리면서 주가는 27,700 원 안팎에서 박스권을 형성했지만, 거래대금이 늘어 단기 저점 확인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1분기 실적 호조 (11회, 26 %) :매출 3,681억 원(+10 % YoY), 영업이익 585억 원(+24 %)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포토레지스트·CMP 슬러리 모두 ASP 인상 효과가 반영돼 영업이익률이 15.9 %로 2.1 % p 개선되었습니다.② HBM CMP 슬러리 (9회, 21 %) :HBM3E·HBM4용 구리 평탄화(CMP) 슬러리 파일럿 라인이 ..
KT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AI·자사주 쌍끌이!
·
주간 이슈
지난 일주일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은 AI 제조혁신(AX) 세미나로 기술 리더십을 과시하는 한편, 2,5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하며 주주환원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6 % 뛰어 ‘밸류업’ 로드맵이 순항 중임을 보여줬지만, 대규모 선투자와 외국인 수급 약세가 주가 상단을 눌렀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AI 제조혁신 세미나 (9회, 20 %) :22일 개최된 MS-KT 공동 세미나에서 한국어 특화 LLM·보안 클라우드 기반 AX 솔루션을 발표, 올해 제조·물류 50곳에 시범 적용을 목표로 했습니다.② 자사주 매입·소각 (8회, 18 %) :2~8월 신탁계약으로 2,500억 원 규모 자사주를 취득 후 전량 소각하기로 확정, 2028년까지 누적 1 조..
신한지주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CBDC·자사주 질주!
·
주간 이슈
한국은행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실증사업 참여 요청과 대규모 자사주 매입 가속 방침이 동시에 부각되며, 신한지주는 ‘디지털 전환’과 ‘주주환원’ 두 축에서 주목받았습니다. 1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를 웃돌았고, 지역상생·ESG 프로젝트도 가동되면서 브랜드 이미지를 다졌지만, 차기 정부 출범을 앞둔 경영진 교체 압박 이슈가 주가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CBDC 참여 요청 (10회, 22 %) :한국은행 총재가 정상혁 은행장을 찾아 ‘프로젝트 아고라’·‘프로젝트 한강’ 파일럿에 신한의 적극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신한은행은 전담 TF를 꾸려 예금-연동 토큰 실험, 해외송금 시나리오 등을 준비하며 디지털 결제 수수료 절감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노리고 있습니다.② 자사주 매입 속도 (..
리노공업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AI·신규수주 날개!
·
주간 이슈
지난 7일 동안 리노공업은 1 분기 ‘깜짝 실적’과 증권가 목표가 상향, 북미·중국 고객사 수주 회복 소식이 겹치며 반도체 테스트 소켓 강자의 존재감을 재확인했습니다. AI 스마트폰·HBM 테스트 수요가 맞물려 하반기 성장 기대가 커졌지만, 주가는 여전히 연저점권에 머물러 기관·외국인 수급이 엇갈린 모습입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목표주가 상향 (9회, 23 %) :KB증권은 22일 12MF EPS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57,000원으로 9.6 % 올리고 ‘매수’를 유지했습니다. 신규 AP 탑재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와 AI향 R&D 제품군 확대가 중·장기 실적을 견인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② 1분기 호실적 (8회, 20 %) :매출 784억 원, 영업이익 349억 원(영업이익률 44.6 %)을 기록해 전년..
신풍제약 주가 주간 이슈 브리핑 (05-16 ~ 05-22): 피라맥스, 코로나 넘어 새 지평 열까? R&D 청사진에 주목!
·
주간 이슈
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지난 한 주간 신풍제약 관련 뉴스를 면밀히 분석하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투자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번 주 신풍제약 관련 소식은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시절의 '테마주' 이미지를 벗어나, 피라맥스의 새로운 적응증 임상 진전과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에 초점이 맞춰진 양상이었습니다. 특히 1분기 실적 발표와 더불어 R&D 투자 강화 기조가 확인되면서, 기업의 본질 가치 회복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언급 횟수 : 30회)신풍제약의 대표 물질인 피라맥스가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역할 외에 새로운 적응증을 찾아 임상 진행 중이라는 소식이 꾸준히 보도되었습니다. 특히 최근 뉴스에서는 말라리아..
사조동아원 주가 주간이슈 브리핑 (05-16 ~ 05-22) : 1분기 실적, 시장 기대 부응했나? 향후 투자 전략은?
·
주간 이슈
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 한 주 간 국내외 주요 언론사들의 뉴스를 통해 사조동아원 관련 핵심 키워드와 그 내용을 심층 분석해 드립니다. 최근 발표된 1분기 실적과 함께 시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하시고, 투자 결정에 앞서 깊이 있는 정보를 얻어 가시기 바랍니다.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 TOP 10 (언급 횟수)1. 1분기 실적 (언급 횟수: 68회)사조동아원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520억 원, 영업이익 28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3.5%, 영업이익은 12.8% 증가한 수치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약 260억 원)를 소폭 상회하는 양호한 성적입니다. 특히 제분 및 사료 부문의 원가 안정과 펫푸드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실적 개선을 견인한 ..
팔란티어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AI 수혜 랠리 이어졌지만 정치·밸류에이션 리스크도 커졌다”
·
주간 이슈
미국 국방·공공 데이터 소프트웨어 강자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는 이번 주에도 AI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고가(5 월 14 일 130.18달러)를 경신했습니다. 하지만 CEO 알렉스 카프가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주재 투자 서밋에 동행한 사실이 워싱턴포스트 보도로 알려지며(정치 노출 리스크), 밸류에이션 부담이 재부상했습니다. 여기에 미 보건복지부·국방부 신규 계약 공시, 1 분기 ‘가이던스 상향’ 후폭풍, 증권가 목표가 조정이 뒤섞여 기회와 경계가 교차한 한 주였습니다. 1. 경영사우디 서밋 동행 논란. 카프 CEO는 5 월 13 일 트럼프 대통령·빈살만 왕세자와 리야드에서 회동하며 중동 클라우드·AI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지만, 미국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선 직전 외교 ..
HLB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자회사 호실적·3사 공동 IR, FDA 재신청 막바지 속 주가 급락
·
주간 이슈
간암 1차 치료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FDA 재신청(5월 말 목표)을 눈앞에 둔 HLB(028300)가 이번 주에도 시끌벅적했습니다. 14 일에는 세 자회사(HLB제넥스·HLB펩·HLB뉴로토브) 공동 IR을 열어 ‘그룹 시너지’를 강조했고, 같은 날 HLB제약이 사상 최대 1 분기 영업이익을 공시했습니다. 그러나 FDA 불확실성·정책 리스크가 겹치며 주가는 3 거래일 연속 하락해 투자심리가 흔들린 한 주였습니다. 1. 경영3사 공동 IR 개최 — 14 일 HLB제넥스·HLB펩·HLB뉴로토브 경영진이 한자리에 모여 “그룹 편입 이후 마케팅·영업 네트워크를 공유해 매출 확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신설된 그룹 내 ‘원 HLB’ 플랫폼이 연구·임상·제조 데이터를 묶어 활용한다는 청사진도 나왔습니다..
계룡건설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분양 부진 속 ‘갑천4블럭’로 반전 노린다”
·
주간 이슈
충청권 기반 중견 건설사 계룡건설(013580)은 5월 둘째 주에도 희비가 교차했습니다. 1 분기 실적 부진이 확인됐지만 대전 ‘갑천 4블록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반전 계기를 마련했고,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둘러싼 ‘정책 테마주’ 논란이 다시 불붙으며 주가 변동성이 이어졌습니다. 1. 경영갑천4블럭 수주 – 대전도시공사는 5 월 15 일 계룡건설 컨소시엄을 4,000억 원 규모 ‘갑천 4블록 공공지원민간임대’ 우선협상대상자로 확정했습니다. 762 세대(전체 951 세대 중 80 %)를 청년·신혼부부용으로 공급하는 지역 핵심 사업입니다.상반기 대규모 채용 – 토목·전기·설계 경력직과 인턴 공채를 동시 진행하며 인력 풀을 확대, 향후 인프라·임대주택 사업에 대비하고 있습니다.투..
HD현대일렉트릭 주간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러시아 데이터센터 러브콜·사상 최대 1 분기 실적 후폭풍·관세 완화
·
주간 이슈
초고압 변압기 · 배전기기 글로벌 톱티어 HD현대일렉트릭(267260)이 이번 주에도 굵직한 헤드라인을 쏟아냈습니다.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가 방한해 공장 투어를 진행하며 동유럽 재진출 교두보를 놓았고, 1 분기 ‘매출 1 조·영업이익 2,182 억 원’ 역대 최고 실적 여진이 계속됐습니다. 여기에 미국 반덤핑 최종 결과에서 관세를 피하며 대북미 수주 모멘텀도 유지돼, 경영·재무·산업·규제 전 부문에서 기대와 과제가 교차한 한 주였습니다.1. 경영러시아 데이터센터 대표단 초청 — 5 월 16 일 더구루 단독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 임원진과 주요 업체 관계자 20여 명이 울산·안성·성남 생산라인과 청주 스마트팩토리를 둘러보고 협력 확대를 논의했습니다. 종전(終戰) 후 시장 재개를 선제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