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
4년 연속 적자를 끊고 2024년 영업이익 8조 3,647억 원을 기록하며 당당히 흑자 전환에 성공한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은 올 1 분기 ‘동결’이지만 추가 인상 가능성이 꾸준히 거론되고 있고, 부채 문제·UAE 원전 중재 이슈 등도 뒤섞여 - 말 그대로 재료와 논쟁이 공존하는 종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복합적인 상황을 멀티 타임프레임 차트로 풀어보며, 기술적·기본적 관점이 교차하는 지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모든 투자 결정은 신중하게,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1. 기업 개요 & 최근 핫이슈
- 흑자 전환 – 국제 연료가 하락하고 요금 인상 효과가 반영되면서 2024년 연결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4.5조원→ +8.4조원)
- 전기요금 동결 vs. 추가 인상 관측 – 정부는 2025 년 1 분기를 동결했지만 증권가는 총선 이후 인상 재개 가능성을 거론
- 부채 증가 – 흑자에도 불구하고 부채는 2.7 조원 늘어 ‘재무 레버리지’ 리스크 지속
- 해외 이슈 – UAE 원전 PF 관련 11 억 달러 규모 중재 절차 진행 중
- 채권조달·ESG 논란 – 올해 달러채를 ‘녹색’ 라벨 없이 발행해 기후단체 비판
2. 월봉·주봉: 장기 하락 저항선을 깨다?
- 월봉은 2016년 고점(63,600원) 이후 장기 하락 채널을 타며 최저 15,550원까지 약 -75%.
- 2024년 말부터 20 개월선(약 22,000원)과 볼린저 중심선을 동시에 상향 돌파.
- 장기 하락 추세선(월봉 60 EMA 부근 26,000원 대)를 종가 기준으로 처음 안착 시도
- 구조적 추세 전환 시드 불 지피는 구간.
- 주봉은 2023 년 저점 이후 저점-고점이 모두 상승하는 구조.
- 5·20·60·120 주선이 수렴 후 정배열로 전환, 주가가 상단 밴드를 타고 상승.
- 주봉 RSI 76, 볼린저 상단 터치 – ‘축적→확장’ 2단계 속 초기 과열 신호.
3. 일봉: 가속페달 밟은 단기 추세
- 2월 말 갭-업 이후 5일선이 주가를 밀어 올리는 전형적 EMA 추세 추종장.
- 볼린저 밴드 폭 급확대, 상단을 따라가는 ‘밴드 워킹’ 지속.
- MACD 히스토그램은 3월 초 피크 이후 완만한 둔화 → 가격은 고점 갱신, 모멘텀은 둔화(=단기 다이버전스 경계).
- RSI 82: 과매수 구간 진입 – 추세가 강할 땐 과매수도 상승의 증거지만, 윗꼬리 출현 시 ‘단기 피로’ 신호로 전환될 수 있음.
4. 기술적 지표 심층 해석
① 이동평균선(EMA 5·20·60·120)
- 월봉에서는 20 EMA가 60 · 120 EMA와의 간격을 좁히며 완만하게 상향 굽어짐
- 지난 4년간 이어졌던 장기 역배열이 “평행 → 상승 기울기” 단계로 넘어가는 초입
- 26,000원대에서 종가가 꾸준히 형성된다면, 월봉에서도 ‘정배열 1단계’(20 EMA가 60 EMA 위에 안착) 완료로 해석할 수 있음.
- 주봉은 이미 5 → 20 → 60 → 120 EMA 순으로 깔끔한 정배열 상태
- 네 개의 선 모두 상향 기울기를 유지해 전형적인 팬-아웃 구간이 진행 중
- 즉, 중기 추세는 아직 ‘가속 초반’-에 해당함.
- 일봉에서는 5 EMA가 5 주일 넘게 20 EMA와 5%포인트 이상 이격된 채로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음.
- 5일선이 꺾이지 않는 한 단기 상승 모멘텀은 살아 있다고 볼 수 있음.
- 이탈이 발생하면 20·60일선(대략 24,000 원 부근)까지 7 – 10 % 정도 가격 조정이 열려 있음
② 볼린저 밴드(20, 2σ)
- 월봉 밴드폭(BBW): 2024-01 최저 0.17 → 현재 0.24.
- 역대 평균(0.35) 대비 여전히 좁아 추세 초기임을 시사.
- 주봉: 상단선(σ +2) 위 ‘밴드 워크’ 4주차. 밴드폭 증가율 +52% ➜ 동행 모멘텀.
- 일봉 %B: 4월 내내 0.95–1.05 구간에서 머물다 첫날 0.90 하락.
➜ 가격은 상승, %B는 둔화 → 상단 경사도가 완만해지면 중심선(20 EMA) 회귀 확률↑.
③ MACD(12, 26, 9)
- MACD도 시간축마다 ‘장기 회복, 중기 확장, 단기 과열’이 동시에 관찰
- 월봉은 2020년 이후 계속 음(–) 영역에 머물던 MACD 선이 네 달 연속 위를 향해 꺾였음
- 히스토그램의 마이너스 폭이 빠르게 줄어드는 중
- 아직 0선을 넘진 않았지만, 가격이 26 K대 이상에 안착하면 두세 달 안에 양(+) 전환이 가시권에 들어올 것
- 주봉에서는 이미 0선 위에 올라온 뒤 히스토그램이 두꺼워지는 확장 파동을 나타냄
- 다만 최근 3주 동안 히스토그램 봉이 살짝 낮아지며 속도 조절 신호를 주고 있음
- 그대로 눌림 없이 고점을 갱신한다면 ‘강세 지속’
- 히스토그램이 4 – 5주 더 줄어들면 가격이 20주선 근처까지 숨 고르기를 할 가능성
일봉 MACD는 양(+) 영역에서 시그널선과의 차이가 사흘째 줄고 있음 - 데드크로스가 실제로 발생하려면 5일선이 꺾이거나 거래량이 급감해 모멘텀 손실 확인 필요
- 차트는 상승, 모멘텀은 둔화되는 다이버전스 여부를 눈여겨 봐야함
④ RSI(14) + RSI Range Theory
- 월봉 62: 약(弱) 상승장 구간(60–70)을 첫 진입.
- 58–60이 지지되면 **‘불리시 레인지’**로 격상 → 중장기 매수세 확정.
- 주봉 76: 70 돌파 이후 “강세 지속 존”. 65–70까지 눌림 시 매수세 재충전 구간.
- 일봉 82 ➜ 78 ➜ 82 (상승 다이버전스 無)
- 80선 위에서도 RSI 고점이 낮아지면 ‘Failure Swing’ 확인 ⇒ 가격 고점도 낮아질 가능성.
⑤ 거래량 & OBV
- OBV(주봉 기준) 2023-10 이후 저점대비 +14% → 가격·OBV 동행 상승: 신뢰도 최고 등급.
- 최근 3주간 평균 거래대금 3,200억 원 → 연초 대비 1.8배.
- 가격 조정 시 OBV 하락폭이 1% 미만이면 강세장 조정(Healthy Pull-back).
종합 인사이트
장기는 막 몸을 일으켰고, 중기는 달리기 시작했으며, 단기는 숨이 찼다.
주가가 5일선을 깨도 20일선-OBV 지지가 유지되면 상승 채널 재진입 가능성이 크다.
MACD 히스토그램의 '0선 근처 수렴' + RSI 65선 방어 여부가 추세 유지/전환의 분수령
월봉 BBW가 0.30을 넘고, MACD가 양전환되는 시점이 다음 중장기 파동의 가속 트리거가 될 전망이다.
5. 단기 시나리오 & 핵심 체크포인트
상승 연장 | 26,650 원 돌파 → 28,500 원(주봉 상단) | 5일선 이탈 없이 박스 상단 재돌파 | 거래량 증가 지속, 일봉 밴드 상단 추세선 유지 |
건강한 조정 | 24,000 ~ 24,500 원(20일선·주봉 5 EMA) | 과열 완화 후 N자 재상승 | 조정 중 거래량 감소, MACD 시그널 전환 여부 |
추세 훼손 | 22,000 원 이탈(일봉 60 EMA·주봉 20 EMA) | 월봉 돌파 실패 → 장기 박스 복귀 | 일봉 MACD 데드크로스, 주봉 캔들 장악음봉 |
6. 리스크·모멘텀 동시에 읽기
- 요금 정책 – 전기요금 추가 인상이 재개되면 실적 레버리지 ↑, 반대로 정치 변수로 또다시 동결될 경우 주가 모멘텀 둔화 가능.
- 부채·금리 – 이자비용이 7.5 조 원 수준, 금리 상승 시 이익 증가분 상당 부분을 잠식할 수 있음.
- 해외 원전·ESG – UAE 중재(11 억 달러) 결과와 ‘녹색채권’ 논란은 글로벌 기관투자자 수급에 변수가 될 수 있음.
- 에너지 전환 – 탄소중립 전략 ‘ZERO for Green’ 추진 중 [한국전력공사]사업보고서(2025.03.1…. 원전·재생 비중 확대에 따라 CAPEX 부담 vs. 장기 성장성 딜레마.
한전은 ‘흑자 전환’이라는 팩트로 긴 터널의 끝을 밝혔고, 차트 역시 이를 반영하듯 장·단기 추세선을 동시에 돌파했습니다. 다만 부채·정책·국제 이슈가 여전히 매듭지어지지 않은 상태이기에, 가격보다 ‘추세의 볼륨’(거래량·모멘텀)의 이완 여부를 먼저 관찰하는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오늘 분석이 여러분의 시야에 작은 나침반이 되길 바라며, 건강한 투자와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참고: 모든 투자 결정은 신중하게,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경케미칼 차트 분석 : 그런데 친환경 가소제·하드카본 모멘텀을 곁들인 (0) | 2025.05.08 |
---|---|
성신양회 차트분석 : ‘선거 테마 + 시멘트 가격 인상’ 겹호재로 3일 100 % 급등! – 멀티타임프레임 차트로 읽는 추세 전환 시그널 (0) | 2025.05.08 |
솔트웨어(321820) 차트·주가 분석 | 클라우드 MSP·스마트팜 성장성, 지지·저항·MACD·볼린저밴드로 본 상승·조정 시나리오 (by 김찰트) (1) | 2025.05.06 |
아이즈비전(031310) 차트 분석: 거래량 실린 장대 양봉! 추세 전환의 서막? (0) | 2025.05.02 |
오리엔트정공(065500) 차트 분석: 바닥 탈출 후 첫 조정, 숨 고르기인가? 변곡점 분석!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