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찰트입니다!
시멘트·레미콘 업계의 중견주 성신양회가 4월 중순 ‘상한가-급등’ 이후
투자경고 지정 예고까지 받으며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한껏 끌어모았습니다.
시멘트 단가 인상 기대와 동시에 2024년 실적 둔화,
레미콘 수요 위축 같은 긍·부정 재료가 교차하는 상황인데요.
오늘은 멀티 타임프레임 차트에 회사 Fundamentals를 덧대어,
이번 파동이 단순 해프닝인지 - 혹은 바닥 탈출의 시동인지 - 차분히 살펴보겠습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기업 개요 & 최근 이슈 ― “시멘트 단가 인상 vs. 수요 둔화”
- 2024년 연결 매출 1조 1,626억 원(+4.4% YoY), 영업이익 532억 원(-27% YoY), 순이익 454억 원(-32%)
- 건설 경기 침체로 시멘트 내수 수요 감소 전망, 회사 역시 2025년 판매량 하락을 가정
- 4월 22일 기준 5 거래일 만에 60 % 이상 급등, 투자경고 종목 지정 예고
- 업계 전반 시멘트 가격 추가 인상 가능성 재부각, 테마성 자금 유입
2. 월봉·주봉 ― “6 년 박스권 상단, 첫 스파이크”
- 월봉을 보면 2018 ~ 2024 년 4,000 ~ 22,000원 박스 안에서 세 차례 급등·급락이 반복됐습니다. 이번 달 장대양봉은 2019년 이후 최대 장대봉으로, 20 EMA(약 8,700원)과 60 EMA(약 9,100원)를 동시에 관통해 올라온 첫 시도입니다. 월봉 RSI는 55선까지 상승하며 장기 매수세 진입을 예고합니다.
- 주봉에서는 7 년 가까이 지속된 하락-수렴 구간을 깨고 5·20·60·120 EMA가 한곳에 쏠려 있던 8,000원대 클러스터를 단숨에 달려 넘었습니다. 주봉 RSI는 67, MACD는 +275로 양(+) 영역을 확실히 밟았지만 히스토그램이 직전 주 대비 축소돼 “가속 뒤 첫 피로” 신호를 보입니다.
3. 일봉 ― “폭발 → 급냉, 눌림목 찾기”
- 4월 18일 상한가(15,470원) 이후 4거래일 만에 저점 6,830원까지 -56%를 반납하며 극단적 변동성을 노출했습니다.
- 현재는 9,300원 부근에서 몸을 낮춘 채 5 EMA를 재차 회복 시도 중입니다.
- 볼린저 밴드 하단이 -40% 이상 벌어졌다가 V자로 접히는 모습은 ‘쇼크 후 진정’ 국면의 전형.
- RSI 55는 과열을 털어냈지만, MACD(+451)-Signal(+541) 간 갭이 여전히 커 데드크로스 예고-시점에 들어섰습니다.
4. 기술적 지표 심층 해석 – 확대판
① 이동평균선
- 월봉 20 EMA가 60·120 EMA의 아래를 오랜 기간 흐르다 이번 양봉으로 동시에 뚫었습니다.
- 9,000원 위에 종가가 1~2개월만 유지된다면 월봉에서도 “역배열 → 수렴 → 정배열 1단계” 완성이 됩니다.
- 주봉은 5 EMA가 나머지 장기선 위에서 가파른 팬아웃을 만들었으나,
- 주가 이격이 15 %를 넘은 상태라 시간조정(횡보) 로 이격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 일봉은 5 EMA가 급경사로 꺾이며 20 EMA(8,100원)-60 EMA(7,700원)와의 간격을 좁히는 중입니다.
- 이 20 EMA가 첫 명확한 지지-시험대가 되겠죠.
② 볼린저 밴드
- 월봉 BB 폭(BBW)은 0.50에서 0.65로 두 달 새 30 % 확장돼 장기 변동성 재가동 신호입니다.
- 주봉·일봉 모두 상단 돌파 후 급격히 벌어졌다 접히는 “슈팅 후 수축” 패턴이 확인되며,
- 밴드 중심선(일봉 20 EMA) 재테스트 가능성이 높습니다.
③ MACD
- 월봉 MACD는 –308 → –200으로 3개월째 음수폭을 줄이며 0선을 향해 올라오고 있습니다.
- 가격이 10 K 이상 안착하면 올 하반기 양(+) 전환도 가능해 보입니다.
- 주봉 MACD(+276)와 Signal(+28) 간 간극이 크게 벌어졌던 구간이 이번 주 들어 급격히 좁혀졌습니다.
- 이는 속도 조절 신호로, 히스토그램이 2~3주 추가 축소되면 20주선(7,800원) 근처까지 숨 고르기가 열릴 수 있습니다.
- 일봉 MACD는 여전히 양(+) 영역이지만 데드크로스를 향해 수렴 중이라 단기 모멘텀은 정점 통과로 보는 편이 안전합니다.
④ RSI
- 월봉 RSI 54 → 55로 장기 매수세 진입 직전 단계입니다.
- 주봉 RSI 67은 70선 바로 아래에서 과열 직전이며, 60이 깨지지 않는 한 중기 상승 추세는 유지됩니다.
- 일봉 RSI는 80 → 55까지 급속 냉각된 뒤 다시 60선 회복을 시도 중으로,
- 가격보다 시간으로 과열을 식히는 전형적 패턴을 보입니다.
⑤ 거래량 & OBV
- OBV(주봉 기준)는 급등-급락에도 불구하고 직전 저점을 깨지 않았습니다.
- 이는 저가 매집이 꾸준히 존재한다 는 방증입니다.
- 다만 투자경고 지정 기간 동안 거래대금이 급감하면,
- 일부 단타 자금이 빠져나가며 OBV가 꺾일 수 있으므로 예의주시가 필요합니다.
5. 단기 시나리오 & 체크포인트
- 상승 재개 : 9,800원(볼린저 상단·10 EMA)을 종가 돌파하면 11,000-12,000원대 빈 매물 구간까지 단기 랠리 재점화.
- 건강한 눌림 : 8,000~8,100원(20 EMA·주봉 5 EMA) 지지 후 횡보로 이격 해소 → OBV 유지 시 재반등 확률 高.
- 추세 훼손 : 7,700원(60 EMA) 이탈 + 일봉 MACD 데드크로스 확정 시 월봉 돌파 실패 → 6,800원 저점 재확인 가능.
6. 리스크·모멘텀 동시 체크
- 시멘트 수요 둔화 ‒ 회사도 2025년 내수 감소 전망을 밝힘
- 투자경고·지정 해제 전까지 변동성 확대 ‒ 신용·미수 규제 가능성
- 실적 모멘텀 둔화 ‒ 2024년 영업이익 27 % 감소, 원가 부담 지속
- 탄소배출 규제 ‒ 2024년 온실가스 414만 t, 배출권 비용 증가 가능
성신양회의 이번 슈팅은 6 년 박스 상단을 처음 깨고 나온 장대양봉이었지만,
하루 만에 절반 이상을 반납하며 변동성의 칼끝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지금 구간은 “장기 추세 전환 0단계 vs. 단기 피로 해소 1단계” 가 겹친 자리입니다.
8,000원 초중반에서 거래량이 가라앉고 모멘텀이 바닥을 다지면,
한 번 더 달릴 트리거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7,700원 아래로 밀려 OBV도 꺾인다면 ‘거품 해프닝’으로 끝날 가능성 역시 열어둬야 하겠죠.
오늘 분석이 여러분의 매매 나침반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독자에게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글로벌 차트분석: 120일선 돌파 임박, EV·리사이클링 모멘텀으로 3,400원 재도전? (0) | 2025.05.09 |
---|---|
애경케미칼 차트 분석 : 그런데 친환경 가소제·하드카본 모멘텀을 곁들인 (0) | 2025.05.08 |
한전 차트분석: 4년 만의 흑자 전환, 전기요금 인상 재점화? 월봉 돌파가 던지는 시그널 (0) | 2025.05.08 |
솔트웨어(321820) 차트·주가 분석 | 클라우드 MSP·스마트팜 성장성, 지지·저항·MACD·볼린저밴드로 본 상승·조정 시나리오 (by 김찰트) (1) | 2025.05.06 |
아이즈비전(031310) 차트 분석: 거래량 실린 장대 양봉! 추세 전환의 서막?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