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셀 주간 키워드 분석 : 줄기세포·FDA 혁신치료제 기대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네이처셀 주가는 8%대 급등하며 2만6000원선 재돌파, 투자심리 회복세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미FDA 혁신치료제 지정 소식에 기대감 급증알바이오 지분 매도 등 수급 변동성, 단기 등락성 확대키워드 분석줄기세포치료제 (언급 횟수 : 15회, 20%)네이처셀의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가 미국 FDA로부터 혁신치료제(Breakthrough Therapy)로 지정됐다는 소식이 투자심리를 크게 자극했다. 해당 치료제의 임상 및 상업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관련주 전반에 매수세가 집중됐다. 국내외 시장에서 줄기세포치료제의 성장성과 네이처셀의 기술력이 재조명되는 계기가 됐다.주가 급등 (언급 횟수 : 12회, 16%)5월 26일 네이처셀 주가는 전일 대비 8.02% 상승, 2만6000원선을 재돌..
알테오젠 주간 키워드 분석 : ALT-B4 수출질주(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ALT-B4 기반 SC 제형 기술이 1 조 8 천 억 원 규모 아스트라제네카 라이선스 계약 이후 다국적사 러브콜 확대• 1Q25 매출 837억·영업익 272억 역대 최대 분기 실적…기술료·원료 공급이 주도• 자회사 Altos Bio·Alteogen Healthcare 합병,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 출범으로 글로벌 CDMO 플랫폼 강화주간 키워드 분석ALT-B4 글로벌 라이선스 (언급 21회, 28 %)ALT-B4는 인체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로 항암제를 정맥주사 → 피하주사로 바꿔 투약 시간을 5→15 분으로 단축한다. 3월 체결한 아스트라제네카 계약(총액 13억5,000만 달러)이 금주 외신 재조명과 함께 추가 파트너 탐색 신호로 확대 보도되며 “SC 변환 플랫폼의 글로벌 디팩토”라는 평..
젬백스 주간 키워드 분석 : “GV1001, 임상·주가 모두 폭주” (05-19 ~ 05-25)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GV1001이 FDA 패스트트랙 지정에 이어 국내에서도 치료 목적 사용승인을 획득, PSP(진행성핵상마비) 치료제 상용화가 가시권에 들어왔다.• 파트너사 넥스턴바이오가 공동 개발·상업화를 공식화하면서 기술료(업프런트+마일스톤)와 생산 시너지 기대감이 확대됐다.• 호재가 연달아 터지자 외국인·기관이 순매수에 나서 주가가 52주 신고가(10 % 급등) 를 경신했다.주간 키워드 분석FDA 패스트트랙 지정 (언급 횟수 : 12회, 24 %)23 일 발표된 미국 FDA 패스트트랙 지정으로 GV1001은 PSP 치료제 가운데 ‘최초’로 신속 심사 트랙을 확보했다. 젬백스는 기존 2026년 상업화 목표를 2025년 하반기로 2분기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고, 증권가는 “패스트트랙 성공률(74 %)과 ..
진원생명과학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상한가·백신 청신호!
·
주간 이슈
최근 7일간 진원생명과학을 둘러싼 뉴스는 코로나19 DNA 백신(GLS-5310) 임상 논문 투고와 연이은 상한가 기록이 맞물리며 ‘백신 모멘텀’을 다시 끌어올렸습니다. 중화권 오미크론 재확산 이슈가 시장을 자극하자 개인투자자 자금이 대거 유입됐고, 외국인·기관 수급이 엇갈리는 속에서도 거래대금이 폭증하며 변동성이 커진 한 주였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코로나19 DNA백신 논문투고 (5회, 20 %) :진원생명과학은 GLS-5310 비강 (IN)·피내 (ID) 접종 임상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투고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예방 효과를 확인한 세계 첫 비강 DNA 백신 임상이라는 점이 강조되며 백신 플랫폼 가치가 재조명됐습니다.② 상한가·VI 발동 (5회, 20 %) :22일 장중 상한가를..
보로노이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기술수출·VRN11 폭발!
·
주간 이슈
치열한 항암제 경쟁 속에서 보로노이는 글로벌 빅파마 3곳과의 기술수출 협상을 공식화하고, IR 행사를 연달아 열며 투자자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주가는 5월 20일 10만 원 초반까지 밀렸다가 협상 기대감과 증권가 목표가 상향에 힘입어 23일 11만 2,000원으로 반등했으나, 외국인·기관 수급이 엇갈리며 변동성이 컸습니다. 주간 키워드 분석① 기술수출 협상 (11회, 23 %)보로노이 김대권 대표는 22일 인터뷰에서 “글로벌 제약사 3곳과 파이프라인 기술수출을 논의 중이며, 연내 가시적 성과를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거래 규모는 건당 최고 1조 원 수준으로 거론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습니다.② IR 개최 (9회, 19 %)21일 정기 기업설명회(IR)에서 VRN11·VRN07 임상 진척 상황과 재무..
HLB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자회사 호실적·3사 공동 IR, FDA 재신청 막바지 속 주가 급락
·
주간 이슈
간암 1차 치료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의 FDA 재신청(5월 말 목표)을 눈앞에 둔 HLB(028300)가 이번 주에도 시끌벅적했습니다. 14 일에는 세 자회사(HLB제넥스·HLB펩·HLB뉴로토브) 공동 IR을 열어 ‘그룹 시너지’를 강조했고, 같은 날 HLB제약이 사상 최대 1 분기 영업이익을 공시했습니다. 그러나 FDA 불확실성·정책 리스크가 겹치며 주가는 3 거래일 연속 하락해 투자심리가 흔들린 한 주였습니다. 1. 경영3사 공동 IR 개최 — 14 일 HLB제넥스·HLB펩·HLB뉴로토브 경영진이 한자리에 모여 “그룹 편입 이후 마케팅·영업 네트워크를 공유해 매출 확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신설된 그룹 내 ‘원 HLB’ 플랫폼이 연구·임상·제조 데이터를 묶어 활용한다는 청사진도 나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