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임 첫날(6 월 4 일) 이재명 대통령은 비상경제점검 TF를 소집해 지역화폐 법제화와 ‘20 조 원 + α’ 규모 추경 편성을 지시했습니다. “모바일·카드형 지역화폐를 전국 표준으로 통합해 데이터 기반 지역경제 정책을 설계하겠다”는 발언까지 더해지면서 결제·정산 인프라 보유 핀테크 기업이 가장 먼저 주가로 반응했습니다.
① 코나아이 — 카드형 지역화폐 ‘독주’ + 실적 급성장
- 사업 포지션 : 카드형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을 전국 60여 지자체에 공급, 사실상 1 위.
- 주가 모멘텀 : 6 월 4–5 일 이틀간 +57.5 % 급등, 52주 신고가 경신.
- 실적 : 2025 년 1 Q 매출 945 억 (+29.6 %)·영업이익 102 억(이익률 10.9 %).
- 확장성 : 외국인 관광객·해외송금 전용 지역화폐 프로젝트로 B2C 매출 다변화 추진.
- 리스크 : 2024 년 감사원 지적 이후 투명성·수수료 경쟁 심화 가능성.
② 웹케시 — ‘비즈플레이’ 기반 80 만 제로페이 가맹망
- 사업 포지션 : 자회사 비즈플레이가 제로페이 80 만 가맹점과 온누리·지역화폐 모바일 상품권을 통합 운영.
- 실적 : 2025 년 1 Q 매출 194 억·영업이익 36 억 —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 +10 %.
- 모멘텀 : 대통령 ‘지역화폐 사용 챌린지’ 공개 후 3거래일간 주가 +18 % 급반등.
- 확장성 : AI CFO, 전자식권 API 등과 결합해 기업 복지·데이터 판매 확대.
- 리스크 : 제로페이 독점 구조에 대한 수수료 인하 압박.
③ 갤럭시아머니트리 — 생활금융 플랫폼, 충전액 150 억/월 돌파
- 사업 포지션 : ‘머니트리’ 앱에서 지역화폐·온누리·제로페이를 통합 충전·교환.
- 성장 지표 : 2024 년 말 월 충전액 150 억 원 돌파, 2년 새 +130 %.
- 실적 : 2025 년 1 Q 영업이익 46 억(+62.6 %), 분기 최대.
- 확장성 : NFT·STO형 지역화폐 실증 사업 참여로 블록체인 자산화 선제 대응.
- 리스크 : 빠른 매출 성장 대비 마케팅 비용 부담 지속.
④ 쿠콘 — ‘데이터+정산 API’ 허브, 선정산 API로 추가 탄력
- 사업 포지션 : 4,000+ 금융·공공 API를 보유한 국내 최대 데이터 허브.
- 신규 서비스 : 2025 년 5 월 ‘선정산 API’ 출시 → 소상공인 조기 정산 수요 대응.
- 실적 : 2025 년 1 Q 매출 173 억·영업이익 43.9 억(수익성 +27.8 %).
- 확장성 : 지역소비 통계 API 상품화 예고로 데이터 판매 매출 기대.
- 리스크 : 정책 수수료 인하 시 트래픽↑·마진↓ 역전 가능성.
⑤ 유라클 — 조폐공사 블록체인 레퍼런스 + Web3 확장
- 사업 포지션 : LG CNS와 한국조폐공사 모바일 지역상품권 시스템 공동 구축(블록체인 ‘헤카테’).
- 모멘텀 : 2024 년 8 월 코스닥 상장 후 공공·지자체 수주 확대.
- 확장성 : 스마트시티 슈퍼앱, 디지털배당권 등 ‘Web3 + 공공페이’ 모델 진출.
- 리스크 : 초기 구축형 매출 의존 → 반복 수주 여부에 실적 변동성.
⑥ 나이스정보통신 — ‘고향사랑페이’ 운영 + AI 데이터 분석
- 사업 포지션 : PG·VAN 1위 인프라로 ‘고향사랑페이’ 스마트폰 앱 및 선불카드 주관 운영사.
- 실적 : 2025 년 1 Q 매출 2,574 억(+9.8 %)·순이익 85 억, 비용 상승으로 마진 3.3 %.
- 확장성 : 결제 데이터에 AI·RPA를 적용해 소상공인 매출·재고 분석 리포트 시범 제공.
- 리스크 : 카드사 직권정산·수수료 인하로 VAN 마진 압축 가능성.
맺음말 — ‘정책 + 실적’ 이중 체크가 최선의 방어선
- 단기 매매 팁 : 대통령의 연설·예산안 통과·추경 발표 전후로 ‘키 맞추기 랠리 → 이벤트 소멸’ 패턴이 반복될 공산이 큽니다. 거래량 급증 구간에서 분할매도로 현금비중 조절이 안전.
- 중장기 관점 : ① 독점 레퍼런스(코나아이) ② 플랫폼 확장성(웹케시·쿠콘) ③ 블록체인 접목(유라클) ④ 안정적 현금흐름(나이스정보통신) 순으로 포트 비중을 차등 배분해 정책 지연·수수료 인하 리스크를 헷지하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 관심 지표 : ① 추경 규모·집행 속도 ② 지자체 운영사 재입찰 공고 ③ 모바일·QR형 전환 가이드라인 세부안.
같이 보면 좋은 글
이재명 정부의 지역화폐 드라이브 : 투자자 투자전략은?
1. 프롤로그: 새로운 정책 바람, '지역화폐' 테마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2025년 6월, 이재명 정부의 출범과 함께 대한민국 경제 정책의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이 중에서도 후보 시절부터 강조해
stock-friend.tistory.com
반응형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광벤드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0) | 2025.06.09 |
---|---|
HK이노엔의 테고프라잔 자료 정리 (0) | 2025.06.08 |
펩트론 주가 전망: 'SmartDepot™' 기술력과 일라이릴리 협업, 신고가 랠리 이어갈까? (리스크&모멘텀 포함) (0) | 2025.05.21 |
셀리드 주가 전망: 코로나 백신 임상3상 순항! 바닥 탈출 후 항암 백신으로 부활 신호탄 쏘나? (리스크&모멘텀 포함) (0) | 2025.05.21 |
다날 주가 전망: 1분기 흑자전환! BC카드·양자보안 업고 재도약 시동거나? (리스크&모멘텀 포함) (1)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