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아그로 주가 전망 : ‘GreenShield’로 케미컬→바이오 도약
·
기업 분석
기업개요1986년 설립된 농약 전문기업으로 경남 김해·전북 익산 2개 제조단지에서 연 15 만 톤 CAPA를 운영함.포도·복합 살균제 ‘포리사이드’와 논·밭용 제초제 ‘플렉스원’ 등 스테디셀러에 더해, 2023년부터 바이오 농약 ‘GreenShield’ 라인을 확대 중임.중국 OEM 의존도를 2022년 41 %→2025년 1Q 26 %로 낮추고, 베트남 합작 공장을 통해 원제 내재화율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추진함.전체 매출 구성은 농약 88 %, 친환경 농자재 7 %, 해충 방제 서비스 & 라이선스 5 %로 다각화돼 있음.최근 실적2025 년 1Q 매출 1,020 억 원(+18 % YoY), 영업이익 108 억 원(+26 %)으로 영업이익률 10.6 %를 기록함.고마진 ‘GreenShield’ 제품 비중이..
효성오앤비 주가 전망 : 친환경 유기질 1위, 정책 랠리의 선두주자
·
기업 분석
기업개요효성오앤비는 국내 최대 유기질·혼합 비료 기업(연 120 만 톤 CAPA)으로, 충남 당진·전북 김제 2개 공장에서 고부가 ‘바이오골드’ 시리즈를 생산합니다.2024년 말 완공된 스마트발효 3공장으로 폐자원 순환·탄소배출권 사업을 병행, ESG + 친환경 농업 정책의 핵심 공급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동남아(인니 · 베트남) 합작 법인으로 수출을 확대 중이며, 2025년 수출 매출 비중 목표 18 %.최근 실적2025 1Q 매출 1,120 억 원(+18 % YoY)·영업이익 168 억 원(+42 %) → 영업이익률 15 %(사상 최고).프리미엄 유기질 비료 비중 52 % (+8 %p YoY), 순현금 420 억·부채비율 61 %로 CAPEX 여력 충분.주가 흐름52주 H/L : 18,400 원 / 1..
팜스코 주가 전망 : 사료·비료 통합 플랫폼으로 농가와 함께 성장한다
·
기업 분석
기업개요팜스코(036580 KQ)는 1999년 설립된 통합 사료·비료·축산 서비스 기업으로, 충남 논산·전북 김제·강원 원주 3개 공장에서 연 320 만 톤 사료 CAPA와 55 만 톤 비료 CAPA를 운영합니다.배합사료(양돈·양계·한우)와 부산물 기반 친환경 복합비료, 농가 경영 SaaS **‘팜스코패스’**를 통해 사료·비료·컨설팅·물류를 원스톱 제공하는 플랫폼 모델을 구축했습니다.2024년 인수한 스마트축사 ICT기업 ‘팜테크’와 연계해 공기질·사료량·질병 데이터를 수집, AI 알고리즘 기반 처방 사료·비료를 공급하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 1Q 매출 4,980 억 원(+9 % YoY)·영업이익 196 억 원(+34 %) → 영업이익률 3.9 %.옥수수·대두박 하락으로 사료 원가가 안정됐고, 복..
조비 주가 전망 : 아프리카 농업 ODA 공급사 + 저평가 복합비료 강자
·
기업 분석
기업개요조비는 1947년 설립된 국내 최초 복합비료 기업으로, 울산 온산(연 150 만 톤)·전북 군산(연 40 만 톤) 공장을 거점으로 국내 시장 2위, 수출 1위를 유지합니다.인도네시아·베트남 합작 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 케냐·탄자니아 등 아프리카 농업 ODA 공급사로 선정돼 해외 매출 비중을 빠르게 확대 중입니다.비료 외에 토양 분석·농가 컨설팅·신용 판매 등 통합 농업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 반복 수요를 확보했습니다.최근 실적2025 1Q 매출 2,480 억 원(+15 % YoY)·영업이익 82 억 원(흑자 전환) → 영업이익률 3.3 %.해외 수출(ODA·동남아)이 전년 대비 42 % 늘며 매출 비중 27 % 도달, 순현금 610 억·부채비율 74 %로 재무 여력 양호.주가 흐름52..
아시아종묘 주가 전망 : 글로벌 종자 혁신으로 신흥국 시장 점령
·
기업 분석
기업개요아시아종묘(154030 KQ)는 2002년 설립된 종자·바이오 농약 전문기업으로, 토마토·고추·배추·수박 등 채소 종자에서 세계 Top 5 경쟁력을 보유함.국내 경기·세종 2개 연구소와 인도·태국 3개 해외 육종농장, 대전·인도 구자라트 2개 생산공장으로 멀티 허브 체제를 구축해 ‘24시간 육종’ 프로세스를 운영.2024년 출시한 하이브리드 고온내성 토마토·바이오 코팅 고추 종자가 인도·아프리카 수출을 견인, 수출 매출 비중 35 %까지 상승.최근 실적2025 1Q 매출 180 억 원(+38 % YoY), 영업이익 22 억 원(흑자전환) → 영업이익률 12.2 %.고부가 코팅·하이브리드 제품군 ASP +19 %, 순현금 140 억·부채비율 42 %로 재무안정성 양호.주가 흐름52주 H/L : 7,..
농우바이오 주가 전망 : 글로벌 3각 거점으로 종자 왕좌 노린다
·
기업 분석
기업개요농우바이오(054050 KQ)는 1992년 설립된 국내 1위 채소·곡물 종자 기업으로, 배추·무·고추 등 400여 품종을 자체 육종·생산·판매함.한국 (안성)·터키 (안탈리아)·멕시코 (과달라하라) 3대 육종허브를 활용한 ‘24 시간 글로벌 육종’ 체제로 품종 개발 리드타임을 30 % 단축.2024년 말 완공된 군산 스마트 종자 공장에 로봇 파종·AI 품질검사 시스템을 도입, 연 CAPA를 1.4 배(1.8 만 톤) 확대함.최근 실적2025 1Q 매출 410 억 원(+14 % YoY)·영업이익 38 억 원(+27 %) → 영업이익률 9.3 %.신흥국 수출이 42 % 성장해 해외 매출 비중이 35 % 도달, 하이브리드 배추·고추 종자 ASP가 17 % 인상됨.순현금 260 억 원·부채비율 58 %로..
남해화학 주가 전망 : 질소 비료 대장주의 저평가 반전
·
기업 분석
기업개요남해화학은 1974년 설립된 국내 최대 질소·복합 비료 제조사로 여수 산단 내 연 250만 톤 일괄 생산 CAPA를 보유한다.2025년 4월 완공된 제4공장 증설로 저탄소 요소(UEA) 상업 생산을 본격화, 친환경 농업·수소경제 양쪽 수요를 동시에 겨냥한다.LNG 인수기지를 통한 원가 경쟁력과 인도·베트남 합작 법인을 활용한 수출 다변화로 내수·해외의 균형 성장을 추진 중이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5,890억 원(+11 % YoY), 영업이익 420억 원(+28 %)으로 두 자릿수 성장세 유지.천연가스 가격 안정에 따른 판가 개선·원가 절감 효과로 영업이익률이 8.1 %까지 확대됐다.순차입금 2,850억 원, 부채비율 122 %로 증설 이후에도 재무 레버리지는 안정적이다.주가 흐름52주..
그린생명과학 주가 전망 : 바이오 농약 신성장으로 피어 대비 저평가 돌파할까
·
기업 분석
기업개요2001년 설립된 그린생명과학은 친환경 바이오 농약·유기질 비료·식물 생장조절제를 개발·제조하는 종합 농자재 기업임.경기 화성·충북 음성 2개 공장에서 연 11만 톤 CAPA를 운영하며, 자체 세포발효·효소 전환 공정을 기반으로 고부가 생물농약 원료를 내재화함.2024년 11월 완공된 음성 2공장 증설로 CAPA가 1.4배 확대됐으며, 동남아(태국·필리핀)와 중동(사우디) 합작법인을 통해 수출 다각화를 추진 중임.최근 실적2025년 1Q 연결 매출 1,8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 성장, 영업이익 164억 원(영업이익률 9.0 %)을 기록함.신형 생물농약 ‘GL-BioGuard’ 시리즈 매출 비중이 17 %까지 확대돼 고마진 구조로 전환 중임.순현금 210억 원, 부채비율 64 %로 증..
경농 주가 전망 : 친환경 농약 ‘그린핏’으로 성장·저평가를 동시에 노린다
·
기업 분석
기업개요경농(002100 KS)은 1957년 설립된 국내 1위 종합 농약사로, 살충·살균·제초제 600여 품목을 자체 개발-생산-유통합니다.2023년 출시한 친환경 바이오 농약 ‘그린핏’ 라인이 2025 1Q 매출의 18 %를 차지하며 고마진 구조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중국 OEM 의존도를 2022년 38 %→2025 1Q 21 %로 줄이고, 베트남·인도네시아 합작 공장 증설로 동남아 시장 공략을 확대 중입니다.최근 실적2025 1Q 매출 1,380 억 원(+12.6 % YoY)·영업이익 142 억 원(+25.4 %) → 영업이익률 10.3 %.‘그린핏’ 매출 증가와 원재료 국산화율 상승(53 %)이 수익성 호전을 견인했습니다.순차입금 370 억 원·부채비율 68 %로 재무구조 안정, R&D 투자 ..
KG케미칼 주가 전망 : 저탄소 UEA로 밸류 리셋 노리는 복합화학 강자
·
기업 분석
기업개요KG케미칼은 울산·여수 2개 단지에서 요소·질소·복합 비료와 IPA, MEK 등 석유화학 제품을 동시에 양산하는 국내 복합화학 업체다.2025년 2월 업계 최초 저탄소 요소(UEA) 상업 설비를 가동, CO₂ 배출을 기존 대비 55 % 감축하며 친환경 농업·반도체 소재 시장을 겨냥한다.모기업 KG그룹의 순환경제 밸류체인을 활용해 폐배터리 리사이클·이차전지 화학 소재까지 신사업을 확대 중이다.최근 실적2025년 1Q 매출 8,740억 원(+13 % YoY), 영업이익 718억 원(+29 %) → 영업이익률 8.2 %.UEA 판가 프리미엄(+18 %)과 국제 요소 시황 반등이 비료·화학 동반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순현금 1,130억 원, 부채비율 97 %로 대규모 CAPEX(’24-’25 3,400..
LS ELECTRIC 주가 전망 (2025년 6월) : 스마트팩토리 + HV 전력, 투톱으로 재평가 가속
·
기업 분석
★기업개요LS ELECTRIC(010120 KS)은 전력기기·자동화·신재생·스마트팩토리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1위 전력·에너지 자동화 기업임.2025년 5월, 자회사 LS ITC·LS 티라유텍과 통합 웹플랫폼 **‘Beyond X for Smart Factory’**를 공개하며 End-to-End 스마트팩토리 생태계를 구축함.미국(텍사스 Bastrop Campus) HV 변압기·스위치기어 공장 완공으로 북미 데이터센터·재생에너지 수주 확대를 추진, 1Q 2025 기준 해외 수주잔고 3.9 조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최근 실적2025년 1분기 연결 매출 1조 320억 원(-0.6 % YoY), 영업이익 873억 원(-6.9 % YoY), 영업이익률 8.5 % 기록. HV 변압기·ESS 수주 확..
에브리봇 주가 전망(2025년 6월) : 가정로봇 1위, AI 서빙까지 사로잡을까
·
기업 분석
기업개요에브리봇(270660 KQ)은 2015년 설립된 국내 1위 청소로봇 전문기업으로, 물걸레 청소로봇 ‘RS’ 시리즈 누적 판매 200 만 대를 돌파함.2024년부터 AI 기반 서빙·안내 로봇으로 제품군을 다각화하며 B2B 시장에 본격 진출, 삼성·LG 스마트홈 연동 생태계에도 참여 중.해외 매출 비중이 2022년 32 %→2024년 48 %로 확대되며 북미·유럽 대형 리테일 채널 입점이 가속화되고 있음.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148억 원(+19 % YoY)·영업이익 18억 원(흑자 유지)·순이익 20억 원으로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감.프리미엄 청소로봇 비중이 55 %→61 %로 상승해 **총이익률 41 %**를 기록, 연구개발비는 매출의 11 % 수준.순현금 310억 원·부채비율 17 %로 ..
휴림로봇 주가 전망(2025년 6월) : 인수전 루머 타고 솟구칠 서비스 로봇 기대주
·
기업 분석
기업개요휴림로봇(090710 KQ)은 1999년 설립된 국내 1세대 로봇 기업으로, 가정·유통·의료 분야 서비스·실내물류 로봇과 산업용 로봇 SI 사업을 영위함.최근 AI 플랫폼·자율주행 기술을 결합한 ‘테미(Temi) 2.0’ 출시로 상업 시설·스마트시티 수요를 선점 중이며, 국방부 협업으로 무인경비 로봇 PoC를 진행 중임.2025년 3월 전략적 투자 유치와 함께 **M&A 루머(삼성·SKT 컨소시엄 참여설)**가 돌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됨.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64억 원(+31 % YoY), 영업손실 7억 원으로 적자 폭을 크게 축소함.고마진 서비스 로봇 비중이 **58 %**까지 확대되며 **총이익률 42 %**를 기록, 연결 기준 순현금은 92억 원으로 개선세 지속.2분기에도 테미 2..
스맥 주가 전망(2025년 6월) : 스마트머신 퀀텀점프 노린다
·
기업 분석
기업개요스맥(099440 KQ)은 1996년 설립된 공작기계·스마트팩토리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머신툴 + ICT 융복합 기술을 보유함.공작기계, 로봇 자동화, 자율주행 물류로봇, IIoT 기반 통합관제 플랫폼까지 원스톱 공급 체계를 구축함.2025년 3월 스마트머신 전용 IIoT 모듈과 디지털트윈 소프트웨어를 출시하며 ‘스마트머신 Top 1’ 비전을 선언함.올 4월 600억 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의해 CAPA 증설과 글로벌 마케팅 자금으로 활용 중임.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424억 원(-0.7 % YoY)·영업이익 43억 원(+8 % QoQ)·순이익 40억 원으로 수익성 개선세가 뚜렷함.고부가 스마트머신·로봇 SI 매출 비중이 62 %를 차지, 총이익률 37 %까지 상승함.순현금 120억 원·..
티로보틱스 주가 전망(2025년 6월) : 물류,2차전지 라인 특수로 도약 채비
·
기업 분석
기업개요티로보틱스(117730 KQ)는 진공·물류 로봇 및 자동화 장비를 주력으로 하는 로봇 SI 전문기업으로, OLED 진공이송 로봇에서 자율주행 물류로봇까지 풀라인업을 확보함.2025년 3월 청라 신사옥·R&D 센터 준공으로 생산능력(CAPA)을 2.2 배 확대하며 2차전지·반도체 공정 장비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국내 2차전지·자동차 부품사와 장비 공급 계약을 지속 확대해 수주잔고가 매 분기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임.총 발행주식수 18.8 백만 주, 최대주주 안승욱 외 특수관계인 16.2 % 지분 보유.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94억 원(+29 % YoY), 영업이익 10.7억 원으로 2분기 연속 흑자 달성.고마진 물류로봇·맞춤형 시스템 SI 매출 비중이 64 %까지 상승하며 총이익률 41 %..
유일로보틱스 주가 전망(2025년 6월) : AI 로봇 자동화 흑자 전환주
·
기업 분석
기업개요유일로보틱스(388720 KQ)는 2018년 설립된 산업용·협동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주행다관절·SCARA·협동로봇 등 20여 종의 라인업을 보유함.자동차·전기전자·2차전지·물류 등에 턴키 자동화 시스템을 공급하며, 2025년 3월 인천 청라 신사옥·R&D센터를 준공해 생산능력(CAPA)을 2.2 배 확장함.KAIST·삼성 출신 AI·로봇 전문가 영입으로 휴머노이드·AI 제어솔루션 연구를 강화,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 중임.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100억7,300만 원(전년比 +27.5 %), 영업이익 4억3,500만 원으로 4분기 연속 흑자 기조 유지.고마진 공정로봇·맞춤형 SI 매출 비중이 65 %까지 상승, 영업이익률 4.3 % 기록.순현금 210억 원, 부채비율..
로보티즈 주가 전망 (2025년 6월) : 액추에이터 흑자 모멘텀에 날개
·
기업 분석
기업개요로보티즈(108490 KQ)는 1999년 설립된 로봇 전문기업으로, 핵심 제품인 다이나믹셀-Y 액추에이터와 자체 감속기를 기반으로 협동·서비스·교육 로봇 플랫폼을 공급함.2024년 LG전자가 7.3 % 지분을 확보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해외 AI·빅테크 고객(메타·MIT·애플 등) 납품 레퍼런스를 확대 중.자율주행 로봇 ‘개미(AMI)’를 신성장 축으로 집중 육성하며 실내·실외 배송, 안내, 방역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102억2,000만 원(+22.6 % YoY), 영업이익 8억2,000만 원으로 흑자 전환, 당기순이익 12억 원 기록.액추에이터 라인 해외 양산 전환으로 고마진 제품 비중이 65 %까지 상승, 총이익률 46 %로 개선.순현금 47..
로보스타 주가 전망 (2025년 6월) : LG 파워로 재도약 노리는 산업용 로봇 강자
·
기업 분석
기업개요로보스타는 1999년 설립되어 2011년 코스닥에 상장한 산업용 로봇·공장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직각좌표·SCARA·6축 다관절 로봇부터 FA 시스템 통합(2차전지·반도체·디스플레이)까지 풀라인업을 보유함.2018년 LG전자가 지분을 매입한 뒤 2023년 말 기준 33.4 %(최대주주)까지 확대, LG 전자·LG 이노텍 등 계열 수주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며 ‘LG 그룹 로봇 허브’ 역할을 수행 중.스마트팩토리 고도화를 위해 R&D 집중 투자(매출의 12 %) 및 협동로봇 라인업 확장으로 중장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한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141억 원(-32 % YoY), 영업손실 23.8억 원(적자 지속)으로 전방산업 투자 부진·수출 감소 영향이 컸음.1분기 말 순현금 150..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전망 (2025년 6월) : 삼성 품은 휴머노이드 혁신주
·
기업 분석
기업개요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1년 KAIST 휴머노이드연구센터 연구진이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으로, 협동로봇 (RB‑K 시리즈)과 휴머노이드 (RB‑Y 시리즈)라는 두 개의 주력 플랫폼을 보유함.2025년 1월 삼성전자가 지분을 35 %까지 확대하며 전략적 관계사로 편입, 연구‑생산‑판매 밸류체인에 빅테크 자본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함.연구·산업·서비스용 로봇을 모두 자체 설계·제조하는 국내 유일 풀스택 공급사로, R&D 비용이 매출의 40 % 내외를 차지할 만큼 기술집약적임.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41.8 억 원(+37 % YoY)으로 고성장 지속, 그러나 연구개발 확대 탓에 영업손실 14 억 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됨.수주잔고는 178 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 증가, 특히 휴머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