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전KPS(051600) 주가 전망 : “국내 원전 제염·정비 싹쓸이, 해체 장기수혜 누릴까?”
·
기업 분석
기업 개요1984년 한전 자회사로 출범한 국내 최대 발전설비 O&M·제염 전문기업.사업 구성(2024) : 원자력·양수 정비 44 %, 화력 32 %, 송변전·해외 24 %.정비 데이터 40년 축적을 활용해 해체 제염·절단 솔루션 개발 완료.2025-06-30 종가 59,800 원 — 시가총액 2.7 조 원, 배당수익률 4 %대.최근 실적 & 재무 하이라이트2025 1Q 매출 2,880 억 원(▼16 % YoY), 영업이익 78 억 원(▼85 %), 순이익 112 억 원(▼74 %).계절적 공정 공백 + 정비 일정 지연으로 실적 부진, 2H 집중 반등 예상.수주잔고 4.9 조 원 → 고리·월성 해체 기본계획 추가 반영 시 6 조 원 돌파 전망.순현금 1,900 억 원, 부채비율 44 %로 대규모 장기 프..
2025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주가 전망 : FA-50, KF-21 날다
·
기업 분석
기업 개요국내 유일의 완제기 체계종합업체로 FA-50 경공격기·T-50 훈련기·수리온 헬기·KF-21 전투기 개발을 주도하며, 위성·MRO·발사체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2025 년 1 분기 말 수주잔고는 24조 2,569억 원으로 2020 년 대비 30 % 이상 늘어 ‘빅4’ 방산 가운데 네 번째 규모를 유지한다. 수주 구조는 국내 8.9 조·수출 5.2 조·기체구조물 10.1 조 등으로 5년 치 일감을 확보한 상태다. 최근 실적2024년: 연결 매출 3조 6,337억 원(-4.9 % YoY), 영업이익 2,407억 원(-2.8 %) – 수리온 사업 종료에 따른 공백으로 다소 부진.2025년 1분기: 매출 6,993억 원, 영업이익 468억 원(-5.5 %, -2.5 %) – 보잉 파업에 따른 민항기..
2025 LIG넥스원 주가 전망 : 천궁-Ⅱ 미사일 강자
·
기업 분석
기업 개요LIG넥스원(079550, 코스피)은 정밀유도·감시정찰·지휘통제·항공전자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한국 대표 미사일·레이더 체계 종합업체입니다. 2024년 UAE·이라크·사우디 등과 ‘천궁-Ⅱ(M-SAM Block-II)’ 초대형 계약을 연달아 따내며 글로벌 중거리 방공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냈고, 2025년 1분기 말 수주잔고 22조 8,830억 원(역대 최고) 으로 빅4 가운데 두 번째 규모를 확보했습니다. 앞으로 2030년대 중반까지 매출로 인식될 장기 프로젝트가 대다수라 5년 이상 실적 가시성이 뚜렷합니다. 최근 실적2024년: 매출 3조 2,771억 원(+42% YoY), 영업이익 2,308억 원(+23.8%)으로 사상 최대 실적 경신2025년 1분기: 매출 9,076억 원(+18.9%), 영..
2025 현대로템 주가 전망 : K2 전차 수출폭발
·
기업 분석
기업 개요현대로템(064350, 코스피)은 K2 전차·차륜형장갑차 등 지상 무기체계와 GTX‧해외 고속철 등 철도 솔루션을 양대 축으로 삼는 현대자동차그룹의 방산·모빌리티 기업입니다. 2022년 폴란드와 K2 전차 1차(180대) 계약을 체결하며 ‘K-방산 수출 붐’을 견인했고, 2025년 6월 현재 2차 계약(약 9 조 원 규모, 180대) 체결이 임박해 추가 성장 모멘텀이 확실합니다. 1분기 말 수주잔고 21.1 조 원 중 방산 3.4 조 원, 철도 16.9 조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최근 실적2024년 매출 4조 3,000억 원(잠정, +33 % YoY), 영업이익 4,280억 원(+192 %)—창사 이래 최대치2025년 1분기 매출 1조 1,761억 원, 영업이익 2,029억 원으로 ..
2025 빅텍 주가 전망 : 전자전 테마주
·
기업 분석
기업 개요빅텍은 전자전(EW) 솔루션과 군용 전원공급장치를 주력으로 하는 국내 소형 방산기업이다. 특히 국군의 지상·해상·항공 플랫폼에 탑재되는 전자전 방향탐지장치(ESM)와 L-SAM 다기능레이다(MFR)용 전원장치에서 니치 1위를 확보하고 있다. 2024~25년엔 한화시스템·LIG넥스원과 협업해 ▲L-SAM 전원장치 초도 양산 (326억 원) ▲K2 전차 2차 사업 열상표적지시기(TOD) 전원장치 (164억 원) 등을 연달아 수주하며 수주잔고를 1 년 새 2배인 1,050억 원까지 끌어올렸다.최근 실적2024년: 연결 매출 705억 원(+32 % YoY), 영업이익 -5억 원(적자 지속) – 민수 전자부품 단가 하락과 PF 대손충당금 반영이 부담.2025년 1분기: 매출 120억 원(+52 % YoY..
2025 스페코 주가 전망 : 해군부품 숨은진주
·
기업 분석
기업 개요스페코는 아스팔트∙콘크리트 플랜트 설비가 주력인 중소 기계업체지만, 자회사 함안정기를 통해 함정용 박용기계‧함형구조물 등 해군 방산 부품을 납품합니다. 2024~25년엔 풍력 타워, 친환경 재생 아스콘 플랜트까지 포트폴리오를 넓혀 ‘플랜트 + 방산 + 신재생기자재’ 삼각축을 구축했습니다. 2025 년 1 분기 말 수주잔고는 1,0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두 배 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최근 실적 구분 2024년(연간) 2025년 1Q YoY 매출액543억 원318억 원+318 %영업이익7억 원–3억 원 (적자폭 93 % 축소)흑자 전환 임박순이익–11억 원흑자 전환 * 1Q25 실적은 플랜트 인도 집중으로 매출이 급증, 원가절감 효과로 손익이 큰 폭 개선됐습니다. 주가 흐름2025-06..
2025 휴니드테크놀로지 주가 전망 : 전술데이터링크 핵심
·
기업 분석
기업 개요휴니드는 군용 데이터링크(Link-16)·전술무전기(TMMR)·항공전자(Flight Control Computer) 등 방산 통신·항공전자 특화 기업입니다. 보잉·록히드마틴과 장기 기술제휴를 맺고 F-16, KF-21, KC-330 등에 항공전자 장비를 공급하며, 육군 차세대 전술통신(TICN)과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 21(KTDL-21) 사업에서도 핵심 장비를 독점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5 년 1 분기 말 수주잔고는 2,060억 원(전년 比 +13 %)으로 매출 대비 두 배 이상 일감을 확보했습니다. 최근 실적 구분 2024년 2025년 1Q YoY 매출액1,980억 원 (+2 %)428억 원 (–1 %)△영업이익94억 원 (+7 %)15억 원 (–84 %)▼영업이익률4.7 %3.5 %▼*..
HD현대중공업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HD현대중공업(329180)은 세계 최대 단일 야드를 기반으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LNG 운반선, 해양플랜트(FPSO·FLNG)와 방산 함정까지 아우르는 종합 조선사다. 2025년 들어 FLNG·LCO₂ 운반선·암모니아 추진선 설계에 대한 국제 선급 인증을 잇달아 확보하며 ‘친환경·고부가 선박’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3조 9,532억 원(+27 % YoY), 영업이익 4,337억 원(+1,936 % YoY)으로 2014년 이후 최대 분기 이익을 달성했다. LNG선과 VLCC 인도 단가 상승, 야드 가동률 90 % 이상 유지, 그리고 원가 구조 개선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다. 3월 말 수주잔고는 224억 달러로 약 3.3년치 일감을 확보했..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삼성중공업(010140)은 해양플랜트·고부가 LNG 운반선·FPSO(부유식 원유생산설비)에 특화된 조선사다. 거제 옥포조선소를 기반으로, 세계 최다 FLNG·FPSO 건조 실적과 고품질 LNG선 시리즈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에는 “해양플랜트 턴어라운드”가 핵심 키워드로, 브라질·카타르·모잠비크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이 본격 실적에 반영되는 원년으로 꼽힌다. 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은 2조 4,189억 원(+19 % YoY), 영업이익은 1,1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적자(-1,102억 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해양플랜트 공정률 인식과 LNG선 고선가 인도가 맞물린 덕분이다. 3월 말 수주잔고는 171억 달러로 약 4.1년치 일감을 확보했다. 3. 주가 흐름연초 7,500원선에..
현대미포조선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현대미포조선(010620)은 중형 가스선·케미컬/프로덕트 탱커(PC)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는 조선사다. HD현대 그룹 내에서 “친환경 중형선 박사(博士)” 역할을 맡아 LNG 벙커링선, 수소·암모니아 이중연료 선박, 전기추진 하이브리드 선박 등 고효율·저탄소 선종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1조 7,4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425억 원(영업이익률 8.2 %)으로 두 자릿수에 근접하며 사상 최대 분기 이익을 달성했다. 고선가 LPG·PC선 인도 비중이 확대되고, 야드 공정 자동화로 고정비가 줄어든 덕분이다. 3월 말 수주잔고는 86억 달러(약 3.4년치)로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했다.3. 주가 흐름..
SK오션플랜트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SK오션플랜트(100090)는 아시아 1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자켓·모노파일) 제작사이자 특수선·강관·해양 구조물을 함께 생산하는 ‘그린 에너지·해양 플랜트 전문기업’이다. 2023년 SK에코플랜트 편입 후 자본 확충과 글로벌 영업망을 발판으로, 대만·유럽 해상풍력 EPC 메이저(Ørsted·Jan De Nul 등)의 핵심 파트너로 올라섰다. 최근에는 한화오션과 ‘함정 MRO 클러스터’에 합류해 방산 정비 매출원도 열어 두었다. 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연결 매출은 2,5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2 % 급증했고, 영업이익은 110억 원(+23 % YoY)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대만 ‘팽미아오’ 해상풍력 자켓 물량이 본격 반영된 덕분이다. 다만 원가 부담으로 영업이익률이 4...
한국카본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한국카본(017960)은 LNG 운반선 화물창용 보냉재(Insulation Panel) 분야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30 % 이상을 차지하는 기자재 강자다. 프랑스 GTT가 설계한 멤브레인 화물창(‘NO96’ 시리즈)의 핵심 파트너로, 신형 NO96-SUPER+ 보냉패널을 국내 빅3·한화오션에 독점 공급한다. 최근에는 암모니아·액화 CO₂ 운반선용 고내압 보냉재와 풍력 블레이드용 탄소복합재로 사업 영역을 넓히며 “친환경 선박 소재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은 4,980억 원(전년 대비 +62 %), 영업이익은 31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93 % 급증하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NO96-SUPER+ 공급물량이 본격 인식된 데다 생산 자동화율이 78 ..
동성화인텍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동성화인텍(033500)은 LNG 운반선·FLNG·FSRU 등에 들어가는 멤브레인 방식 보냉재 시장에서 글로벌 점유율 40 % 안팎을 차지하는 핵심 기자재 기업이다. ‘NO96 LO3+’ 시스템을 포함해 프랑스 GTT와의 긴밀한 라이선스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액화 CO₂ 탱크용 초저온 단열재와 해상풍력 하부 구조물용 복합단열 솔루션으로 제품군을 다변화해 “차세대 친환경 선박 소재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다.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은 3,21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 늘었고, 영업이익은 276억 원(영업이익률 8.6 %)으로 2년 만에 두 자릿수에 근접했다. 한화오션·HD한국조선해양을 중심으로 NO96 LO3+ 패널 출하가 크게 늘었고, 베트남 생산법인의..
HD현대마린엔진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HD현대마린엔진(071970)은 디젤·가스 듀얼연료 선박엔진과 장기 서비스계약(LTSA) 분야에서 글로벌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 HD현대그룹의 핵심 파워솔루션 계열사다. 2024년 말 구 STX엔진을 인수 · 합병해 브랜드를 새로 달았으며, IMO 2050 규제 대응을 위해 메탄올·암모니아·수소 혼소 엔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주력 제품군은 6만~8만 마력급 저속 메인 엔진과 중속 발전기 엔진, 그리고 아프터세일즈 정비(부품·서비스) 사업이다.2.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은 4,22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98억 원(영업이익률 9.4 %)을 기록해 두 분기 연속 두 자릿수에 근접한 수익성을 달성했다. 메탄올 듀얼연료 엔진 수주 비중이 15 %까지..
HD한국조선해양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HD한국조선해양(009540)은 HD현대 조선·해양 부문의 중간 지주사로,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조선·HD현대삼호중공업 등 25개 종속사(엔진·플랜트 포함)를 거느립니다. LNG·VLCC·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상선과 FPSO·해양플랜트, 자율운항·친환경 추진선 R&D를 아우르며 “R&D+수주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최근 실적2025년 1Q 연결 매출 6조 7,717 억 원(+22.8 % YoY), 영업이익 8,592 억 원(+436 % YoY)으로 8분기 연속 흑자 달성. 고선가 LNG·특수선 인도 확대와 생산성 개선 효과가 결합되었습니다.1Q 말 수주잔고 69조 원(약 3.5 년치), 올해 수주 목표는 181 억 달러로 제시. 3 월 4 일 4,588 억 원 규모 에탄운..
성광벤드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
기업 분석
1. 기업 개요성광벤드(014620)는 스테인리스·합금강 배관 피팅(엘보·티·리듀서 등) 분야 국내 점유율 60 % 이상을 차지하는 기자재 전문기업이다. LNG 운반선 · 해양플랜트 · 정유·석화 라인은 물론, 최근엔 원전·수소 배관까지 공급처를 넓히며 “고압·내식(耐蝕) 특수 피팅 토털 솔루션”을 지향하고 있다. 2024년 하반기부터는 풍력 하부 구조물용 대구경 피팅 모듈도 양산에 들어갔다.2. 최근 실적2025년 1 분기 매출 2,087억 원(+33 % YoY), 영업이익 256억 원(영업이익률 12.3 %)으로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했다. LNG선·원전용 고마진 피팅 비중이 48 %까지 확대되며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고, 자동화 프레스 라인 가동률이 85 %에 달해 고정비 레버리지가 본격화됐다...
대우건설 주간 키워드 분석 : 비료플랜트 대박 (05-20 ~ 05-26)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7.84억 달러(약 1.1조 원) 규모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 비료플랜트’ 본계약 체결로 중앙아시아 수주 급가속.• 1 분기 매출 2조 767억 원·영업이익 1,513억 원(▲31.8 % YoY)로 ‘내실경영’ 성과 입증, 수주잔고 29조 원 안착.• ‘푸르지오 정원’ 조성 MOU 등 ESG·브랜드 활동 강화로 도시정원 박람회 참여 기업 이미지 제고. 주간 키워드 분석투르크메니스탄 비료플랜트 계약 (언급 횟수 : 14회, 28 %)대우건설은 5 월 24 일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7.84억 달러 규모 ‘미네랄 비료플랜트’ EPC 본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10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후 7개월 만의 성과로, 중앙아시아 첫 대형 화공 프로젝트 진출이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공사 기간 4..
두산에너빌리티 주간 키워드 분석(05-17~05-23) : SMR·가스터빈 질주!
·
주간 이슈
1주일 사이 두산에너빌리티는 소형모듈원전(SMR)·가스터빈 등 핵심 사업이 동시에 조명되며 주가가 12년 만의 최고가에 근접했습니다. KB · 대신증권이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했고, 미국 원전 확대 행정명령 기대·가스터빈 생산능력 증설 계획·협력사 ‘파트너스 데이’ 등 호재가 이어져 외국인 매수세까지 유입됐습니다. 다만 급등 이후 차익 매물이 늘며 변동성도 확대된 한 주였습니다.주간 키워드 분석① 원전주 급등 (4회, 26%) :트럼프 대통령의 원전 산업 활성화 행정명령 예고에 국내 원전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장중 19% 급등해 3만 9000원을 돌파했습니다.② 가스터빈 생산능력 확대 (3회, 20%) :연간 6대 → 2026년 8대로 증설 계획을 공개하며 AI 데이터센터·중동 플랜..
HD현대일렉트릭 주간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러시아 데이터센터 러브콜·사상 최대 1 분기 실적 후폭풍·관세 완화
·
주간 이슈
초고압 변압기 · 배전기기 글로벌 톱티어 HD현대일렉트릭(267260)이 이번 주에도 굵직한 헤드라인을 쏟아냈습니다.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가 방한해 공장 투어를 진행하며 동유럽 재진출 교두보를 놓았고, 1 분기 ‘매출 1 조·영업이익 2,182 억 원’ 역대 최고 실적 여진이 계속됐습니다. 여기에 미국 반덤핑 최종 결과에서 관세를 피하며 대북미 수주 모멘텀도 유지돼, 경영·재무·산업·규제 전 부문에서 기대와 과제가 교차한 한 주였습니다.1. 경영러시아 데이터센터 대표단 초청 — 5 월 16 일 더구루 단독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데이터센터 협회 임원진과 주요 업체 관계자 20여 명이 울산·안성·성남 생산라인과 청주 스마트팩토리를 둘러보고 협력 확대를 논의했습니다. 종전(終戰) 후 시장 재개를 선제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