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관련주 TOP 10 분석 : 글로벌 뷰티 한복판에서 빛날 종목은?
·
기업 분석
0. 서론 : K‑뷰티, 왜 지금 주목해야 하나?한때 ‘한류 소비주’로 각광받던 K‑뷰티는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체질 개선에 성공했습니다.중국 로컬 브랜드의 공세, 면세 채널 의존 탈피, 온라인 D2C 직구의 확산 등으로 지형이 크게 변했지만,프리미엄 라인 확장·더마코스메틱 강세·클린뷰티 규제 대응이 맞물려 다시 글로벌 성장 엔진에 불이 붙었습니다.이 글은 최근 3년간 실적·수출·밸류에이션·유동성 지표를 종합해 꼽은 TOP 10 K‑뷰티주를 한눈에 정리하고,이후 종목별 심층 리포트(하위글)로 이어지는 시리즈의 서론 역할을 합니다.1. K‑뷰티 산업 개요 & 성장 동력글로벌 시장 규모: 2024년 기준 650억 달러(연평균 +CAGR 8%)로 추정, 북미·동남아 성장률 두 자릿수.트렌드 변화: 클린뷰티·비..
현대바이오랜드 (052260) 주가 전망 : 바이오 원료·더마코스메틱 기술로 가치 재평가
·
기업 분석
기업 개요현대바이오랜드는 콜라겐·히알루론산·펩타이드 등 기능성 바이오 원료를 생산 · 공급하는 소재 전문 기업입니다.2021년 한국콜마 편입 후 글로벌 화장품·의료용 소재 밸류체인을 구축, ODM 시너지를 확대했습니다.충북 제천·세종 2개 공장과 중국 소주 JV를 통해 연 1,900톤 이상의 원료 CAPA를 보유하고 있습니다.의료용 콜라겐·하이드로겔 원료로 FDA 510(k)·CE 인증을 추진, 고부가 의료 시장 진출을 가속 중입니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475억 원 (+14 % YoY), 영업이익 68억 원 (+40 % YoY)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바이오 소재 매출 +22 %, 더마·의료 원료 +31 % 성장으로 이익 레버리지가 확대됐습니다.영업이익률 11.2 %→14.3 % 개선, ..
코스메카코리아 (241710) 주가 전망 : 친환경·글로벌 ODM 다크호스의 성장 질주
·
기업 분석
기업 개요코스메카코리아는 미·유럽 인디·더마 브랜드에 특화된 글로벌 화장품 ODM 기업입니다.충주·평택·중국·미국·프랑스 등 6개 생산 거점으로 연 55억 개 제품 CAPA를 확보했습니다.친환경 용기·무마이크로플라스틱 제형 등 그린 포뮬레이션 기술에 집중, 특허 730건 보유.해외 매출 비중이 2024년 48 % → 2025년 50 %+ 전망, 환율 우호 국면 레버리지 효과.최근 실적2025 년 1분기 매출 3,728억 원 (+10 % YoY), 영업이익 302억 원 (+32 % YoY)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미주·유럽 더마 브랜드 수주 +25 %, 친환경 용기 ASP 상승으로 마진이 개선되었습니다.영업이익률 6.5 %→8.1 %, 온라인 고객 전용 소량생산 라인 가동으로 판관비 효율이 증대.2024..
토니모리 (214420) 주가 전망 : Z세대 감성·스마트 뷰티로 반등 시도
·
기업 분석
기업 개요토니모리는 컬러풀 패키지·합리적 가격대로 유명한 MZ세대 색조·기초 브랜드입니다.2024년부터 ‘스마트 미러’ 피부 진단 서비스와 AI 피부 분석 앱을 도입해 디지털 화장품 기업으로 전환 중입니다.미국·동남아·중남미 온라인 플랫폼에서 글로벌 매출 비중 38 %를 달성, 2025년 목표는 45 %입니다.친환경 패키징·비건 라인 출시로 ESG 트렌드에 맞춘 리브랜딩을 가속하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602억 원 (+9 % YoY), 영업이익 26억 원 (흑자 전환)을 기록했습니다.온라인 매출이 전년 대비 +33 % 성장하며 전체 매출의 35 %로 확대되었습니다.AI 진단·스마트 미러 채널에서 신규 고객 재구매율이 28 %→41 %로 상승해 마케팅 효율을 개선했습니다.배당은 아직 없..
잇츠한불 (226320) 주가 전망 : 더마·프리미엄화 리브랜딩으로 재도약 노린다
·
기업 분석
기업 개요잇츠한불은 ‘잇츠스킨’·‘프레스티지 싱크레어’ 등 더마코스메틱 라인을 주력으로 하는 중견 화장품 브랜드사입니다.2024년부터 프리미엄 더마·비건 라인으로 리브랜딩을 진행, 평균판매단가(ASP)를 15 % 이상 끌어올렸습니다.중국 왕훙 콜라보와 라방 재개로 중국 매출 비중 35 %를 회복, 동남아·미주 시장 진출도 가속 중입니다.경기도 판교 신규 R&D 센터(2025.04 완공)에서 기능성 원료 35건 특허를 보유해 기술 장벽을 높이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매출 842억 원 (+12 % YoY), 영업이익 86억 원 (+41 % YoY)로 3분기 연속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더마 라인 매출 +29 %, 중국 라방 채널 +54 % 성장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온라인 D2C 비중은 1..
애경산업(018250) 주가 전망 : 생활·뷰티 투트랙으로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
기업 분석
기업 개요애경산업은 생활용품(스킨·헤어·세제)과 화장품(AGE20’s · 루나) 투트랙 포트폴리오를 가진 종합 소비재 기업입니다.생활용품은 국내 1위 치약 ‘2080’ 등 견조한 캐시카우, 화장품은 프리미엄 쿠션 AGE20’s로 고성장 중입니다.2024년 해외 매출 비중 26 %를 기록, 베트남·인도네시아 온라인 채널이 연평균 +70 % 성장세를 보였습니다.친환경·ESG 전략으로 2030년까지 플라스틱 사용량 50 % 감축, 탄소배출 40 % 저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 년 1분기 매출 1,939억 원 (+6 % YoY), 영업이익 169억 원 (+24 % YoY)으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생활용품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영업이익률이 6.9 %→8.7 %로 개선됐습니다.AGE20’s 해..
클리오 (237880) 주가 전망 : MZ세대 색조 강자가 그리는 글로벌 스텝업
·
기업 분석
기업 개요클리오는 ‘킬커버’ 쿠션·‘페리페라’ 틴트로 대표되는 색조 중심 K-뷰티 브랜드 기업입니다.MZ세대 타깃의 SNS 바이럴·라이브커머스 마케팅에 특화돼 있으며, 미국 ULTA·동남아 Shopee 등 글로벌 D2C 채널을 확장하고 있습니다.2024년 해외 매출 비중 40 % 돌파, 2025년엔 북미·동남아 성장으로 45 % 목표를 제시했습니다.적극적 자사주 매입과 배당 성향 30 % 정책으로 주주환원 기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 년 1분기 매출 1,074억 원 (+18 % YoY), 영업이익 142억 원 (+36 % YoY)로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해외 매출 +29 %, 특히 북미 ULTA 채널 매출이 +58 % 급증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온라인 D2C 비중이 38 %로 확대돼 판..
코스맥스(192820) 주가 전망 : 글로벌 ODM 1위, 혁신 생산력으로 레벨업
·
기업 분석
기업 개요글로벌 화장품 ODM·OEM 1위 기업으로, 600여 개 브랜드에 스킨케어·메이크업·건기식까지 전방위 제품을 공급합니다.미국·중국·인도네시아·프랑스 등 8개국 14개 생산법인을 운영하며, 연간 75억 개 이상 제품 생산 CAPA를 확보했습니다.2,500여 건 이상의 제형·원료 특허와 AI 포뮬레이션 플랫폼 ‘COSMAX AI Lab’으로 개발 주기를 30 % 단축했습니다.지속가능경영 로드맵(2030)에 따라 재활용 소재 용기 60 % 적용·탄소배출 50 %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최근 실적2025 년 1분기 매출 4,985억 원 (+11 % YoY), 영업이익 410억 원 (+28 % YoY)으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중국 매출 +18 %, 북미·유럽 인디 브랜드 수주 두 자릿수 성장..
LG생활건강(051900) 주가 전망 : 럭셔리 뷰티 및 생활용품 투트랙으로 반등 노리는 올드 킹
·
기업 분석
기업 개요국내 2위 K-뷰티·생활용품 강자이며 ‘후(后)’ · ‘숨’ · ‘빌리프’ 등 럭셔리 브랜드를 보유한 포트폴리오가 특징입니다.화장품·생활용품·음료 3개 사업부로 매출 기반이 다각화돼 경기 변동 방어력이 우수합니다.북미 Avon 인수, 일본 Ginza Stefany 지분 확보 등 글로벌 M&A를 통해 해외 영토를 확장하고 있습니다.2025년 4월 미국 법인 유상증자(1.3억 달러)로 현지 재도약 및 공급망 강화에 나섰습니다.최근 실적2025년 1분기 연결 매출 1조 6,979억 원(-1.8 % YoY), 영업이익 1,424억 원(+2.3 % YoY)으로 시장 기대를 소폭 상회했습니다.뷰티 부문 부진에도 음료 매출(+5.8 % YoY)과 생활용품 영업이익률 개선이 실적을 방어했습니다.해외 매출 비중..
아모레퍼시픽(002790) 주가 전망 : 글로벌 프리미엄 K-뷰티 리더의 재도약
·
기업 분석
기업 개요- 아모레퍼시픽(002790)은 라네즈·설화수·이니스프리 등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를 보유한 국내 1위 화장품 기업입니다.- 2024년 미국 매출이 처음으로 중국을 넘어섰고, 북미·동남아 직영 및 D2C 채널 확장으로 해외 비중이 30%를 돌파했습니다.- ‘Investor Day(2024.11)’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매출 +10%, 영업이익률 12% 달성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성장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미국 현지 생산 거점 검토(관세 회피) 등 글로벌 SCM 다변화도 진행 중입니다.최근 실적- 2025 년 1분기 매출 1조 1,648억 원(+15.7% YoY), 영업이익 1,289억 원(+55.2%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습니다.- 북미 매출 +48%, 동남아 +33% ..
문제의 '3% 룰' 총정리 : 대주주 지배력 제한, 왜 투자자가 주목해야 하나?
·
주식 용어 정리 & 해설 시리즈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됨에 따라, 6월 5일 목요일 민주당에서는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공표했습니다.이 중 기업 입장에서도,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도 이목을 끄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3% 룰'입니다.오늘 글에서는 3% 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3% 룰'이란 무엇인가?3% 룰은 감사위원 분리선출 시 최대주주의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제도입니다.기업의 감사위원을 선임할 때, 특정 주주의 지배력 남용을 막고 감사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 특히 소액주주 보호를 위한 핵심 조항입니다.2. 법적 근거와 적용 대상법적 근거: 상법 제542조의12 제3항적용 대상: 자산 2조 원 이상인 상장회사핵심 조항:“감사위원이 되는 이사를 선임할 때,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은 3..
5월 22일 (목) KOSPI · KOSDAQ 투자 전략 브리핑
·
지수
[참고] 지난 미국 증시 (5월 20일 마감 기준)다우: +0.17%S&P500: +0.12%나스닥: +0.22%`요약: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소폭 강세를 보였으나,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금리 인하 신중론, 추가 인상 가능성 언급 등)으로 전반적인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어제(5월 21일) 국내 증시 마감 동향 (분석글 예측 및 실제 결과 종합)KOSPI: 분석글에서 2600선 방어를 언급했으나, 실제로는 2,724.18 (+0.64%)로 마감하며 2700선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으며, 특히 반도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음식료, 화장품 업종이 강세를 보였습니다.KOSDAQ: 분석글에서 715p 재도약을 언급했으나, 실제로는 84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