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주간 이슈 총정리 : 1조 클럽 눈앞! 케이캡과 새 비상! (06-02 ~ 06-08)
·
주간 이슈
HK이노엔은 주력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연매출 2천억 원 달성을 앞두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아토피 치료제 3상 승인 및 비만 치료제 개발로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1조 클럽 가입을 가속화하는 HK이노엔의 주간 이슈를 분석합니다.핵심 3줄 정리•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이 연 매출 2000억 원 달성을 눈앞에 두며 회사의 핵심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IN-115314'의 3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통해 30조 원 규모의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습니다.• 비만 치료제 개발과 함께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확장하며 '1조 클럽' 가입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키워드 분석케이캡 (언급 횟수 : 9회)HK이노엔이 개발한 P-CAB 계열 위..
펩트론 주간 이슈 총정리 : 일라이 릴리 쇼크, 극복할까? (06-02 ~ 06-08)
·
주간 이슈
펩트론은 일라이 릴리의 타사 계약 소식으로 하한가에 진입하며 주가 급락을 겪었으나, 릴리와의 기술성 평가가 순조롭게 진행 중임을 밝히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비만 치료제 시장의 기술 경쟁 심화 속에서 펩트론의 독자적인 스마트데포 기술의 우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핵심 3줄 정리• 펩트론은 일라이 릴리의 다른 기업과의 계약 소식으로 하한가에 진입하며 주가 급락을 겪었습니다.• 회사는 일라이 릴리와의 기술성 평가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자사 기술의 차별성을 강조하며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노력했습니다.• 비만 치료제 시장의 경쟁 심화 속에서 펩트론의 독자적인 스마트데포(SmartDepot) 기술의 우위가 투자자들의 핵심 모니터링 포인트로 부상했습니다.키워드 분석일라이 릴리 (언급 횟수 : 60회)펩트론은 비..
한미약품 주간 키워드 분석 : 키트루다병용 임상가속(05-19 ~ 05-25)
·
주간 이슈
핵심 3줄 정리• 키트루다-HM16390 병용 1상 착수…MSD와 세 번째 파트너십으로 면역항암 R&D 시너지 확대, 파이프라인 가치 재평가.• GLP-1 계열 ‘에페글레나타이드’ 3상 가속 + 경구 제형 연내 공개 예고, 2026년 상업화 목표로 비만 치료 시장 공략 본격화.• 복합신약 ‘로수젯’ 국제학회서 ‘게임체인저’ 평가…LDL-C 강하·비용 대비 효과 입증하며 매출 성장 모멘텀 강화.키워드 분석키트루다 협력 (언급 횟수 : 54회, 3%)한미약품은 MSD와 ‘키트루다’ 공동 임상 협력·공급 계약을 체결, 전이성 ·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병용 1상을 시작했다. 키트루다 세계 매출은 2024년 297억 달러에 달해, 병용 데이터 확보 시 기술료 및 공동개발 가치가 크게 상승할 전망이다.HM..
펩트론 주간 이슈 (5.15. ~ 21.) :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 펩트론이 주목받는 이유는?”
·
주간 이슈
주간 이슈재무·실적펩트론은 2025년 1분기 기준 매출액 7억 원, 영업손실 24억 원, 순손실 2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신약 연구개발 중심의 구조로 상업화 전까지 적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나, 부채비율이 20% 미만으로 재무 안정성이 높은 편입니다. 최근 연구개발비 집행이 증가하면서 현금흐름 관리가 중요해졌습니다.제품·서비스·기술펩트론은 약효 지속형(Depot) 펩타이드 신약 플랫폼 ‘SmartDepot’을 기반으로 파킨슨병(PT320), 전립선암(PT105), 비만치료(PT302, PT403), 항암 항체(PAb001)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만치료제 PT403과 PT302는 글로벌 임상 진전과 기술이전(L/O) 가능성으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암연구학회..
인벤티지랩 주간 이슈 브리핑 (2025. 05. 11 ~ 05. 17) – ‘주 1회 경구 세마글루타이드’ 데이터와 LNP 플랫폼 첫 공개
·
주간 이슈
지질나노입자-기반 약물전달 플랫폼과 마이크로스피어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잘 알려진 인벤티지랩(389470)이 이번 주에도 시장을 들썩였습니다. 주 1회 복용이 가능한 경구형 세마글루타이드 프로젝트가 24.3 %라는 파격적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을 기록하며 글로벌 빅파마의 러브콜을 받았고, 미국 ASGCT 2025 학회에서는 차세대 LNP 제조 플랫폼 ‘IVL-GeneFluidic®’을 처음으로 전면 공개해 CDMO(위탁개발·생산)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1 분기 실적도 흑자로 돌아서며 성장 로드맵에 힘을 보탠 한 주였습니다.1. 경영회사 IR에서 공개된 경구용 비만치료제 데이터가 ‘주사제 → 경구제’ 전환 경쟁에 불을 붙였습니다. 세마글루타이드 후보 물질은 기존 노보노디스크 제품보다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