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보증보험 주가 전망 : 고배당 신규상장주 분석, 배당 9%·K-ICS 400% 장기투자 가이드
·
기업 분석
SGI서울보증보험(031210)은 국내 유일의 종합보증보험사로, 정부·공공기관·기업·개인을 대상으로 각종 이행 · 지급 · 신용보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969년 설립돼 반세기 넘게 보증시장을 독점해 왔으며, 2025년 3월 17일 코스피에 상장했습니다. 상장 전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하던 지분 93.8% 중 30%를 기관과 일반투자자에 매각했고, 잔여 지분은 점진적으로 시장에 내놓을 예정입니다. 2024년 연결 순이익은 3,156억 원으로 역대 두 번째 규모였고, 총자산은 29조 원·보험부채는 17조 원 수준입니다.1.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별도 기준 순이익은 74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습니다. 보증보험료 수입이 4.4% 늘고, 영업비용이 안정되며 손익이 개선됐어요. 특히 기업신..
2025 롯데손해보험 주가 전망 : 저평가 리스크·턴어라운드 분석, K-ICS 120%·PBR 0.7배, 반등 신호는 언제?
·
기업 분석
롯데손해보험(000400)은 1946년 설립된 전통 손해보험사로 2019년 사모펀드 JKL파트너스에 편입된 뒤 ‘디지털·장기보장성보험’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화재·해상·자동차·장기보험을 골고루 영위하며, 생활밀착형 보험 플랫폼 ‘ALICE’로 온라인 채널을 확대 중이에요.1. 최근 실적2024년 잠정 실적은 영업이익 337억 원, 당기순이익 272억 원을 기록해 전년(1,487억 원) 대비 크게 감소했습니다. IFRS17 도입과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영향으로 준비금이 증가한 탓이죠.2025년 1분기에는 투자이익 확대로 순이익 113억 원을 달성하며 전 분기 대비 흑자 유지에 성공했습니다. 2. 주가 흐름2024년 내내 박스권(1,500~2,400원)을 맴돌던 주가는 K-IC..
2025 코리안리 주가 전망 : 배당 515원·K-ICS 195%로 본 장기투자 포인트
·
기업 분석
코리안리재보험(003690)은 국내 유일의 전업 재보험사입니다. 1963년 설립 이후 60여 년간 국내 손보사들의 후방 파트너 역할을 해왔고, 현재 190여 개 해외 보험사와 거래하며 글로벌 톱 15권 재보험사로 올라섰어요. 2024년 IFRS17 기준 연결 순이익은 3,1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 늘며 3천억 원대를 회복했습니다1.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90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6 % 증가했습니다. 해외 수재 포트폴리오 확대와 투자이익 증가 덕분에 모든 손익 지표가 개선됐어요. 분기 매출(보험료수익)은 1조 5,536억 원으로 0.8 % 늘었고, 영업이익은 1,175억 원으로 45.6 % 급증했습니다. 2. 주가 흐름자사주 취득과 해외사업 호조 뉴스에 힘입어 2025..
메리츠금융지주 주가 전망 2025 : 고ROE·자사주소각 전략 완전 분석, 장기 배당투자 가이드”
·
기업 분석
메리츠금융지주(138040)는 메리츠화재 · 메리츠증권 · 메리츠캐피탈을 거느린 금융지주사로, 2011년 국내 최초 보험지주로 출범했습니다. ‘본업 고수익+공격적 자본관리’ 전략으로 2024년 연결 순이익 2조 3,334억 원을 달성하며 2년 연속 ‘2조 클럽’을 유지했어요. 자산은 119조 6,833억 원, ROE는 23.4 %로 업계 최고 수준입니다.1.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순이익은 6,2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 늘었습니다. 메리츠화재(순익 4,625억)와 메리츠증권(순익 1,874억)의 고른 기여 덕분이었죠. 이자손익이 안정적으로 늘고 금융투자손익이 개선돼 이익 체력이 견조했습니다. 2. 주가 흐름2024년 6월 이후 자사주 대규모 매입·소각 소식이 이어지면서 주가는 1년 새 5..
현대해상 주가 전망 2025: 저PBR·고배당 손해보험주 완전 분석
·
기업 분석
현대해상(001450)은 1952년 설립된 국내 3위 손해보험사로, 자동차·장기·일반보험을 고르게 영위합니다. 전국 4,300여 개 대리점과 1,000만 명 이상의 고객 기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보험료 수입을 창출하고 있어요. 2024년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 첫해에 당기순이익 1조 307억 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1조 클럽’에 진입했습니다 1. 최근 실적2025년 1분기 순이익은 2,03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9% 감소했습니다. 겨울철 독감·호흡기 질환 보험금이 급증했고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올라가면서 보험영업이익이 줄었기 때문이에요. 다만 보험계약서비스마진(CSM)이 9조 1,078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4% 늘어 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견고합니다. 2. 주가 흐름202..
2025 DB손해보험 주가 전망 : 배당 6,800원·K-ICS 204%로 본 장기투자 포인트
·
기업 분석
DB손해보험(005830)은 자동차·장기·일반보험을 고르게 영위하는 국내 2위 손해보험사입니다. 1963년 한국자동차보험으로 출범해 2017년 DB그룹 편입 후 사명을 바꿨고, 전국 5,700여 개 영업망과 1,100만 명에 달하는 고객을 보유하고 있어요. ‘실손보험 원조’라는 별칭답게 장기보험의 탄탄한 캐시플로와 자동차보험 효율화로 꾸준한 현금 창출력을 자랑합니다.1. 최근 실적2024년 별도 기준 순이익은 1조 7,72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3 % 성장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보험서비스비용은 소폭 늘었지만 투자이익이 59 % 급증하며 전체 이익을 끌어올렸죠. 이어 2025년 1분기에는 4,47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보다 23.4 % 감소했지만, 이는 LA 산불·금호타이어 화재 등 일..
IBK기업은행 주가·배당 완전 분석 (2025년 6월)
·
기업 분석
“예적금 금리 3%가 아쉬운 시대, 대신 6~7% 확정 배당이면 어떨까요?”국책은행이자 중소기업 금융의 든든한 버팀목인 IBK기업은행은 해마다 배당을 가파르게 늘리며 개인투자자 사이에서 ‘배당킹’으로 통합니다. 2024년에는 DPS 1,065원을 확정하며 배당수익률이 6% 후반까지 치솟았고, 배당성향도 **35%**에 육박해 은행권 최고 수준을 기록했죠. 정부 지분(59%) 덕분에 자본 투입은 안정적으로 받으면서, 배당으로는 주주에게 통 크게 돌려주는 독특한 구조—바로 이것이 기업은행의 매력 포인트입니다. 지금부터 고배당과 안정성을 겸비한 IBK기업은행을 다각도로 살펴보겠습니다. 1. 기업 한눈에 보기구분내용설립·상장1961년 설립, 1973년 코스피 상장주주 구성대한민국 정부 59%, 일반·기관 41%..
우리금융지주 주가‧배당 완전 분석 (2025년 6월)
·
기업 분석
“배당 좀 받으면서도 저평가 구간 탈출을 노릴 수 없을까?”우리금융지주는 그 질문에 가장 직관적인 답을 주는 종목입니다. 2019년 완전 민영화 이후 배당성향을 파격적으로 끌어올린 덕분에 DPS 1,200원(2024년)으로 은행주 최고 수준 배당을 자랑하죠. 시가배당률은 무려 7%대—예금보다 두 배 이상 높습니다. 정부 지분 족쇄가 사라진 뒤 ‘배당왕’이 된 우리금융, 과연 지금도 담을 만한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기업 한눈에 보기구분 내용 설립/상장2001년 지주 전환, 2020년 코스피 재상장핵심 자회사우리은행·우리카드·우리투자증권·우리자산운용 등2024 순이익2.78조 원 (PF 충당금 증가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디지털 경쟁력‘우리WON뱅킹’ MAU 950만, 빅테크 연동 강화 2. 실적..
KB금융지주 주가 전망 & 배당 매력 분석 (2025년 6월)
·
기업 분석
“은행주가 지루하다고요? KB금융은 예외일지 모릅니다.”국내 1위 금융그룹인 KB금융지주는 2024년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내며 분기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동시에 밀어붙였습니다. 덕분에 배당수익률은 4%를 상회하고, CET1 13%대의 두툼한 자본 완충력으로 배당이 끊길 걱정도 적죠. 여기에 새 정부의 ‘저PBR 타파’ 정책이 더해지면서, 배당은 기본·주가 리레이팅은 보너스라는 달콤한 시나리오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KB금융이 왜 장기 인컴 포트폴리오의 ‘코어’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기업 한눈에 보기국내 1위 금융그룹: 은행·보험·증권·카드 올인원 포트폴리오.2024년 순이익 5.1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 경신, 비은행 계열사 순익 비중이 34%까지 확대.CET1 13.6%(’25 1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