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 BPS 완전정복 : 장부가치로 숨은 저평가주 캐내기 2편
·
주식 용어 정리 & 해설 시리즈
1편에서는 PBR·BPS의 기본 개념과 계산법, 업종별 적정 구간, 해석 시 체크포인트를 차례로 짚어봤는데요.2편에서는 BPS가 움직이는 이유, 국내 대표 종목 사례 분석, 그리고 PBR과 PER을 교차 활용하는 실전 전략까지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아직 1편을 안 보셨다면 1편부터 읽고 와주세요~! PBR & BPS 완전정복 : 장부가치로 숨은 저평가주 캐내기 1편0. 여는말 : PBR과 BPS, 자산으로 주가를 읽다주가가 비싸다, 싸다를 따질 때 우리는 보통 “얼마를 벌어들이느냐(PER)”에 집중합니다.하지만 기업을 집이라 생각해 보세요.아무리 수입이 좋아도 -stock-friend.tistory.com5. BPS 변화가 의미하는 것들BPS(Book Value Per Share)는 한 번 계산하고 ..
PBR & BPS 완전정복 : 장부가치로 숨은 저평가주 캐내기 1편
·
주식 용어 정리 & 해설 시리즈
0. 여는말 : PBR과 BPS, 자산으로 주가를 읽다주가가 비싸다, 싸다를 따질 때 우리는 보통 “얼마를 벌어들이느냐(PER)”에 집중합니다.하지만 기업을 집이라 생각해 보세요.아무리 수입이 좋아도 - 집 자체가 허름하다면, 혹은 대출이 잔뜩이라면 - 과연 그 집값을 온전히 인정해 줄 수 있을까요? PBR(주가순자산비율)과 BPS(주당순자산가치)는 바로 이 ‘집 자체의 상태’—즉 자산과 부채—를 들여다보게 해 주는 잣대입니다.투자의 역사에서도 ‘자산 기반 밸류에이션’은 꽤 오래된 고전 레시피였습니다.워런 버핏의 스승 벤저민 그레이엄은 “주가가 순자산(청산가치)의 2/3 이하로 떨어질 때”를 대표적인 매수 기준으로 삼았죠.요즘 같은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은행, 보험, 철강, 건설처럼 유형자산이 투자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