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HD한국조선해양(009540)은 HD현대 조선·해양 부문의 중간 지주사로,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조선·HD현대삼호중공업 등 25개 종속사(엔진·플랜트 포함)를 거느립니다. LNG·VLCC·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상선과 FPSO·해양플랜트, 자율운항·친환경 추진선 R&D를 아우르며 “R&D+수주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합니다.
2. 최근 실적
- 2025년 1Q 연결 매출 6조 7,717 억 원(+22.8 % YoY), 영업이익 8,592 억 원(+436 % YoY)으로 8분기 연속 흑자 달성. 고선가 LNG·특수선 인도 확대와 생산성 개선 효과가 결합되었습니다.
- 1Q 말 수주잔고 69조 원(약 3.5 년치), 올해 수주 목표는 181 억 달러로 제시. 3 월 4 일 4,588 억 원 규모 에탄운반선 2척 계약 등으로 5월까지 누적 35.8 억 달러(목표의 19.8 %) 확보.
3. 주가 흐름
- 2025년 6월 9일 종가 321,000 원, YTD +68 %, 52주 범위 131,400 원 ~ 335,000 원으로 신고가권에서 조정 중입니다.
- 4월 1Q 실적 발표 직후 310,000 원대 → 330,000 원대로 7 % 급등, 이후 Nor-Shipping(6/2~6) 전시 기간 동안 실적 차익매물로 단기 눌림 발생.
4. 밸류에이션 점검
6월 9일 종가 321,500 원 기준으로 HD한국조선해양의 12 개월 추정 PER은 약 19배, PBR은 2배 안팎으로 추산됩니다. 직전 분기 실적(1분기 영업이익 8,592억 원)로 이익 레벨이 한 단계 올라서며 2024년 말 30배를 웃돌던 PER이 빠르게 정상화됐지만, 여전히 삼성중공업·한화오션이 보여 주는 15~18배 구간보다는 소폭 프리미엄을 받고 있습니다. 시장은 LNG‧에탄·암모니아 추진선 등 고부가 선박 비중과 지주 구조 덕분에 자회사 이익을 온전히 흡수할 수 있다는 점을 ‘질적 차별화’로 평가하는 모습입니다. 반대로, 자회사 실적 슬로프가 둔화될 경우 밸류에이션 할인 폭도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점은 꼭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5. 주요 이벤트 일정
- 6월 2–6 일 Nor-Shipping 2025(노르웨이): 그룹 차원의 탈탄소 기술 비전을 발표하고 노르웨이 선급·해운사들과 암모니아 추진선 공동개발 MOU를 체결했습니다. 현지 반응이 긍정적이라 향후 고부가 수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 7월 중순(잠정): 미국 해군 함정정비협약(MSRA) 3차 프레젠테이션(PT) 결과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미 자격을 확보해 1·2차 기술평가를 통과했으며, 첫 대형 정비 물량(2026년 인도 이후)이 걸려 있어 하반기 방산 모멘텀의 핵심 변수가 됩니다.
- 8월 12일: 2 분기 실적 발표 일정이 확정돼 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는 매출 7조 원대, 영업이익 8,000 억 원대(전년 동기 대비 +180 % 내외)로 또 한 번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 경우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여지가 남아 있습니다.
- 4분기(날짜 미정): 카타르에너지의 LNG선 3차 패키지(20척 내외) 입찰 결과가 발표됩니다. 업계에선 HD한국조선해양이 최대 6~7척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어, 수주 여부가 2025년 연간 목표(181 억 달러) 달성의 결정적 분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이처럼 6~8월 단기 촉매(노르웨이 수주·MSRA·2Q 실적)와 연말 거대 패키지(카타르 LNG)가 연속해서 대기하고 있어, 일정마다 주가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는 이벤트 전후 눌림목을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하되, 결과 확인 후 과열 구간에서는 일부 차익 실현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6. 전망 및 평가
- 키움증권 베이스 시나리오: 2025E 매출 29.5조 원(+15%), 영업이익 3.78조 원(OPM 12.8%) 전망.
- IMO 2050 규제·中발주 제재로 친환경·고부가 발주 비중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여 ASP가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
- 12M PER 8.9배는 10년 평균(18배) 대비 할인 구간이어서 실적 성장률을 감안하면 Re-rating 여지가 남아 있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7. 리스크 및 대응
- 환율 하락(원강세) → 달러 표시 수주 잔액 가치 하락
대응: 회사는 달러선물·NDF 헤지를 순차적으로 50 %까지 확대. - 후판 가격 추가 상승(톤당 +5 만원 가능)
대응: 장기 고정가 계약 비중 60 %로 확대, 고부가 선가 전가율 제고. - 중국 덤핑 수주 재개
대응: 암모니아·수소 추진선 등 기술 장벽으로 가격경쟁 회피 전략.
8. 투자포인트
- 고부가 가스선·특수선 주도: LNG·에탄·암모니아 등 친환경 선박 믹스 확대 → 영업이익률 구조적 상향.
- MRO·방산 매출 가세: 美 함정 MSRA 수주 시 안정적 서비스 캐시플로 확보.
- 밸류에이션 저평가: 12M PER < 9배, PBR 2.1배로 업계 평균 대비 할인.
- 오더북 가시성: 수주잔고 3.5년치, 2026~27년 실적 인식 피크 확보.
- 기술 선도: Nor-Shipping 이후 암모니아 추진 VLEC·자율운항 공동개발 MOU 등 미래 먹거리 선점.
맺음말
HD한국조선해양은 ‘실적 레벨-업 + 친환경·방산 모멘텀’이라는 구조적 성장 스토리를 갖춘 대표 조선주입니다. 1Q 실적으로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를 상당 부분 해소했지만, Forward PER 8배대는 아직 역사적 평균 대비 저렴합니다. 외부 변수(환율·후판·중국발 공급)를 지속 주시하되, 7~8월 이벤트(美 MRO·2Q 실적) 전후의 단기 조정 구간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한화오션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기업 개요한화그룹이 2024년 4월 옛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한 뒤 사명을 바꾼 **한화오션(042660)**은 LNG 운반선·VLCC 같은 고부가 상선과 잠수함·해양플랜트·방산 MRO(정비)까지 아우르는 ‘종합 해양
stock-friend.tistory.com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1. 기업 개요삼성중공업(010140)은 해양플랜트·고부가 LNG 운반선·FPSO(부유식 원유생산설비)에 특화된 조선사다. 거제 옥포조선소를 기반으로, 세계 최다 FLNG·FPSO 건조 실적과 고품질 LNG선 시리즈
stock-friend.tistory.com
SK오션플랜트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1. 기업 개요SK오션플랜트(100090)는 아시아 1위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자켓·모노파일) 제작사이자 특수선·강관·해양 구조물을 함께 생산하는 ‘그린 에너지·해양 플랜트 전문기업’이다. 2023년 S
stock-friend.tistory.com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성화인텍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0) | 2025.06.09 |
---|---|
HD현대마린엔진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1) | 2025.06.09 |
한화오션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0) | 2025.06.09 |
성광벤드 주가 전망 (2025년 6월 기준) (0) | 2025.06.09 |
HK이노엔의 테고프라잔 자료 정리 (0) | 2025.06.08 |